Physical Properties of Old Fluvial Aggregates in the Southeastern of Jeonnam Province, Korea

전남 동남부 지역에 부존하는 육상골재의 물성특성에 관한 연구

  • Kim Ju Yong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Oh Keun Chang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Yang Dong Yoon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Hong Sei Sun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Chang Soo Bum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Lee Jin Young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 Rim Hyun Soo (Dept. of Geological & Environmental Hazards Divis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 Mineral Resources (KIGAM))
  •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 환경연구팀) ;
  • 오근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 환경연구팀) ;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 환경연구팀) ;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 환경연구팀) ;
  • 장수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 환경연구팀) ;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 환경연구팀) ;
  • 임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제4기 환경연구팀)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Some of old fluvial sediments are originally composed of fine and silty-clay grains with sands or some of them have been segregated by weathering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f groundwater fluctuations. For this reason, some of old fluvial sediments are not suitable for using as fine aggregates. Furthermore, the old fluvial aggregates with comparatively good quality have been exploited for a long time and quality of most remainders have been significantly poor. Though many old fluvial aggregates do not satisfy the quality controls(QC) standards such as KS F2526 and KS F 2527, they must be utilized to various usage suitable far different quality categories. Thus, we try to make constant efforts to utilize aggregates of all qualities. This study shows that physical properties of old fluvial aggregates are both controlled by source rocks and also related to old fluvial environment.

육상골재의 구성물질은 퇴적 후 오랫동안 지하수 유동의 영향으로 일부는 풍화를 받아 토양화가 진전되었거나 토양화의 정도는 미약하더라도 퇴적당시의 입자가 실트-점토질 또는 세립질로서 골재로 사용하기에는 곤란한 경우도 있다. 더구나 오랜 기간 계속된 육상골재의 개발로 입지가 양호한 지점에 분포하는 육상골재는 현재 거의 개발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골재의 품질기준을 규정한 KS F 2526 및 KS F 2527 등에 의하여 골재로서 부적합하거나 불량한 조건을 나타내는 육상골재에 대하여서도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차원에서 각각의 품질에 적합한 다양한 용도를 개발하고 이러한 범위 내에서 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육상골재의 물성은 기원암과 고기 하천 환경에 좌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용, 양동윤, 민충기, 남욱현, 신현모, 고인세, 김진관, 오근창 (2004) 골재부존조사 및 품질관리 기술개발 연구: 제3장 육상골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대전, 816p
  2. 김학수, 조규붕 (2002) 토목품질시험기술사 문제해설 및 실무. 구미서관, 서울, 494p
  3. 박영석, 장우석, 김종균 (2003) 구례지역 하상퇴적물의 지 질집단별 자연배경치에 대한 연구. 자원환경지질, 36권, p. 275-284
  4. 백두환 (2000) 부순잔골재 콘크리트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185p
  5. 양동윤, 임순복, 민충기, 이창범, 박덕원, 김주용, 이동영 (1999) 한반도 산림골재의 물성특성. 자원환경지질, 32권, p. 1-11
  6. 양동윤, 이창범 (1997) 촉진시험법을 이용한 하천골재의 알칼리 반응성 판정. 자원환경지질, 30권, p. 175-183
  7. 윤기원 (1996)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및 활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161p
  8. 이병주, 김정찬, 김유봉, 조등룡, 최현일, 전희영, 김복철 (1997) 광주지질도폭설명서(1:250,000). 과학기술부, 82p
  9. 이성복 (1997) 잔입자함유량 및 잔골재 입형 변화에 따른 부순모래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건축공학과, 212p
  10. 홍세선, 이창범, 박덕원, 양동윤, 김주용, 이병태, 오근창 (2004) 국내 골재석산의 분포와 유형 분석. 자원환경지질, 37권, p. 555-568
  11.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1998)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Part 4.02. ASTM, Philadelphia
  12.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ASTM C-33 (1986) Standard specifications for concrete aggregates
  13.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ASTM C-40 (1992) Test method for organic impurities in fine aggregates for concrete
  14.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ASTM C-88 (1990) Test method for soundness of aggregates by use of sodium sulphate or magnesium sulphate
  15.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ASTM C-128 (1993) Test method for specific gravity and absorption of fine aggregates
  16. Fisher T.G. and Smith D.G. (1993) Exploration for pleistocene aggregate resources using process-depositional models in the Fort McMurray region, Ne Alberta, Canada. Quaternary International, v. 20, pp.71-80 https://doi.org/10.1016/1040-6182(93)90037-G
  17. KS F 2501 (1997) 골재의 시료채취방법. 한국표준협회, 4p
  18. KS F 2502 (2002) 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5p
  19. KS F 2503 (2002) 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방법. 한국표준협회, 6p
  20. KS F 2504 (2002)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6p
  21. KS F 2505 (2002) 골재의 단위용적질량 및 실적률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8p
  22. KS F 2507 (2002) 골재의 안정성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5p
  23. KS F 2508 (2002) 로스앤젤레스 시험기에 의한 굵은 골재의 마모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8p
  24. KS F 2511 (2002) 골재에 포함된 잔 입자(0.08mm 체를 통과하는)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2p
  25. KS F 2512 (2002) 골재중에 함유되는 점토 덩어리량의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2p
  26. KS F 2515 (2002) 골재 중의 염화물 함유량 시험 방법. 한국표준협회, 4p
  27. KS F 2357 (1997) 역청 포장 혼합물용 골재. 한국표준협회, 5p
  28. KS F 2526 (2002) 콘크리트용 골재. 한국표준협회, 8p
  29. KS F 2527 (2002) 콘크리트용 부순 골재. 한국표준협회, 8p
  30. KS F 2532 (2002) 역청 표면 처리용 부순 골재, 부순 슬래그 및 골재. 한국표준협회, 3p
  31. KS F 2534 (2002) 구조용 경량 골재. 한국표준협회, 4p
  32. KS F 2536 (1990) 머캐덤 포장용 부순 골재. 한국표준협회, 4p
  33. KS F 2543 (2002) 콘크리트용 동(銅) 슬래그 골재. 한국표준협회, 9p
  34. KS F 2544 (2002) 콘크리트용 고로 슬래그 골재. 한국표준협회, 30p
  35. KS F 2551 (2002) 절연 콘크리트용 경량 골재. 한국표준협회, 4p
  36. KS F 2558 (1993) 콘크리트용 부순 모래. 한국표준협회, 4p
  37. KS F 2573 (2002) 콘크리트용 재생 골재. 한국표준협회, 6p
  38. KS F 2578 (2002) 미장용 잔골재. 한국표준협회, 5p
  39. KS F 2583 (2002) 콘크리트용 연(鉛) 슬래그 골재. 한국표준협회, 7p
  40. KS F 4009 (200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 한국표준협회, 36p
  41. Spooner, I.S. and Dalrymple, R.W. (1993) Sedimentary facies relationships in esker-ridge/esker-fan complexs, Southeastern Ontario, Canada: Application to the exploration for asphalt blending sand. Quaternary International, v. 20, pp. 81-92 https://doi.org/10.1016/1040-6182(93)90038-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