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악산국립공원의 산림군집구조 - 영봉 및 도락산 일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Yeongbong and Doraksan Region -

  •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
  • 최송현 (밀양대학교 조경학과) ;
  • 김성현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최우경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Oh Koo-Ky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onam Univ.,) ;
  • Choi Song-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Miryang National Univ.,) ;
  • Kim Sung-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Honam Univ.) ;
  • Choi Woo-Ky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Honam Univ.)
  • 발행 : 2005.06.01

초록

월악산국립공원 에 덕 주사-영 봉-신륵사구간과 도락산-상선암구간의 산림 군집 구조 분석 을 실시하기 위해 22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classification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 용하여 군집 분리를 한 결과 소나무-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물박달나무군집 ,소나무-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당단풍군집의 6개 식물군집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산림 군집 구조분석 결과 추정되는 천이계열은 교목층에서 소나무가 졸참나무, 신갈나무로 천이진행 이 예상되었고, 아교목층에서는 철쭉꽃이 쇠물푸레나무, 당단풍나무로 천이진행이 예측된다. 그러나 일부지역에서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토지극상단계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Woraksan National Park, twenty-two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by TWINSP AN, the communities were divided by six groups;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Q. mongolica-Q. serrata, Q. mongolica-Betula davueica, P. densiflora-Q. mongolica, Q. mongolica, Q.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Successional sere of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surveyed area were proeeding from Pinus densiflora to Quercus serrata, Quercus monogolica in the canopy layer group and from Rhododendron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o Fraxinus sieboldian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in the understory layer group. But Q. mongolica might be edaphic climax species in some area.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공원관리공단(1996) 월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216쪽
  2.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삼림군집 구조, -구룡산-비로봉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 2(1) : 1-8
  3. 박인협, 최영철, 문광선(1993) 소백산지역 달밭재 비로봉능선부의 삼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6(2): 147-153
  4. 산림청(2004) 국가표준식물목록, 218쪽
  5. 이경재, 조우, 조재창(1993) 소백산국립공원 천동계곡의 식물군집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6(2): 134-146
  6. 이경재, 최송현, 조우(1995) 주왕산국립공원 삼림군집구조 분석, -이전동 절터지역을 중심으로-. 응용생태연구 8(23): 93-106
  7. 이경재, 최송현, 조현서(1993) 소백산 국립공원 희방계곡의 삼림군집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6(2): 113-126
  8.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지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4): 330-343
  9. 추갑철, 김갑태,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28-37
  10. Brower, J.E. and J.H. Zar(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11. Cox, G. W.(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Wn . C . Brown Co. 232pp
  12. Curtis, J. T. and R. P. Mcl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3. Harcombe, P. A. and P. 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14. Hill, M. O. (1979)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Cornell Univ. Press, Ithaca, N.Y., 99pp
  15. Pielou, E. 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65pp
  16. Simpson, E. H.(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17. Whittaker, R. 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 Monographs 26: 1-80 https://doi.org/10.2307/194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