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 Analysis of TQM in Medical Library

의학도서관의 총체적 질 관리(TQM) 요인분석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The paper examined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QM in Medical libraries. The questionnaire was used for collecting data and the ANOVA and T-TEST were used for analyzing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librarians positively recognize the need of TQM in Medical libraries. However, the results showed that library system needs to improve the reward system for effective performance of the work.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librarians need to be well-qualified person as a professional with the CEO of strong leadership for successful TQM.

본 연구는 총체적 질 관리의 이론 고찰을 토대로 추출된 핵심요인들에 대해 의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식을 조사하여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설문분석 방법은 의학도서관에서의 총체적 질 관리에 대한 사서의 인식을 Likert Type 5단계 척도에 따라 1점에서 5점까지 부여하였고 통계방법은 T-Test와 ANOVA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관, 조직, 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TQM의 필요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서의 과업수행에 있어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보상체제 요인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나 이 점은 앞으로 많이 개선해야 될 부분으로 나타났다. 결국 의학도서관 사서는 최고 경영자의 양질의 지도력 하에 고객만족중심의 과업을 수행${\cdot}$성취하고자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전문직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는 것이 총체적 질 관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정선, "병원도서실 기능의 평가 요소."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지, 제26권, 제11호(1999),pp.1-14
  2. 오세진, "의료부문에서의 종합적 품질 경영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논문집, 33(1999), pp.447-474
  3. 김두성, 학교조직의 총체적 질 관리 모형 개발 연구(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1997), p.7
  4. J. Rowley, "Implementing TQM for Library Services: The Issues."Aslib Proceedings, Vol.48, No.1(1996), pp.17-21 https://doi.org/10.1108/eb051405
  5. Patricia Kovel-larboe, "Quality Improvement A Strategy for Planned Organization Change," Library Trends, Vol.44, No.3(1996), pp.605-630
  6. Peter Brophy, Kate Coulling, "Quality Improvement A Strategy for Planned Organization Change," Library Trends, Vol.44, No.3(1996), pp.605-630
  7. 최상기, "도서관의 TQM 적용에 관한 연구." 도서관학논집, 제27권(1997), pp.337-367
  8. 이상복, "TQM 의 이론적 배경과 도서관 적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1권, 제4호(1998), pp.221-222
  9. 김경숙, '대학도서관 조직에 있어서 TQM 적용에 관한 연구'
  10. 빙혜리, 학교경영에서의 총체적 질 관리에 대한 연구(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11. 최상기, "도서관의 TQM 적용에 관한 연구," 도서관학논집, 제27권(1997)
  12. 엄영애, "사서직의 전문직 요건과 수행업무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 권, 제3호(2004), pp.159-175
  13. 김영순, 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참고사서의 자질에 관한 조사 분석(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14. 유길호, 한계문, "사서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2권, 제2호(2001),pp.1-20
  15. 빙혜리, 학교경영에서의 총체적 질 관리에 대한 연구(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16. Murfin Haldorsen,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s and Nonprofessionals in the Reference Interview,"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38(1977), pp.385-395
  17. 이소연, 대학도서관 인력 활용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6)
  18. Mary E. Sheldon. "Investments and Involvements as Mechanisms Producing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16(1971)
  19. 이성자, 김주희, 윤미라, "중소병원도서실의 참고봉사 현황에 대한 고찰,"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지, 제21권,제2호 (1994), pp.5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