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계산물의 최종 선택자는 소비자이다

  • Published : 2004.11.10

Abstract

국민 소득 수준의 향상과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 욕구가 크게 높아짐에 따라 최근 선진국은 물론 국내의 소비자들도 건강과 안전에 최대의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1995년 1월 세계무역기구(WTO)의 출범과 함께 각 국가들은 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국내$\cdot$외의 위생적인 축산물의 생산과 유통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가축의 질병예방, 치료 및 사육을 위하여 다양한 약제가 사용되고,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 조류인플루엔자 등 가축질병의 발생은 국제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축산물 증 특히 닭고기, 계란 등의 양계산물은 인체의 생명 활동과 체력 유지를 위해 필요한 양질의 단백질을 공급하는 최고의 식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제는 안전성이 확보된 양계산물의 공급은 말할 것도 없고 건강 증진과 약리 작용을 하는 생리 활성 물질, 혹은 특정 영양소를 강화하거나 낮추는 등 특수 목적의 기능성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양계물의 생산을 위해 연구개발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소비자가 바라는 닭고기 등의 양계산물의 공급을 위해서는 생산자, 정부 소비자 등 각자의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