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ransitions in Bronze Technology Observed in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hilla Wang-Gyong

신라왕경 출토 청동유물에서 확인되는 청동기 제작기술의 변천

  • 정영동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 박장식 (홍익대학교 조치원 캠퍼스 금속공학과)
  • Published : 2004.12.20

Abstract

As an initial step to understand the transitions in Korean bronze technology the present study has examined metallurgical microstructures of 8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illa Wang-Gyong site in Kyongju. Important trends have been found in alloy compositions and also in manufacturing processes. In the design of alloys, the Sn content was apparently changing toward the peritectic point, 22 mass %, of the Cu-Sn phase diagram while the Pb addition was intentionally avoided. This trend in composition was found accompanied by the introduction, subsequent to casting, of such special thermo-mechanical treatments as quenching and forging in artifact manufacture. In addition, the Sn content in alloys containing a significant amount of As was relatively low and no evidence of forging was observed in them. The use of quenching and forging and the rejection of Pb and As from alloys are all necessary requirements if the brittle nature of high Sn alloys is to be overcome in bronze working. This paper will show that the Wang-Gyong era corresponds to that of innovations leading to the technical climax in Korean bronze tradition, which has been maintained up to the present.

본 연구에서는 경주의 신라왕경 유적지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8점의 금속학적 미세조직을 분석하여 이들의 제작에 적용된 청동기 기술의 변천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이 수행 되었다. 그 결과 합금의 조성 면에서는 주석함량이 22%를 지향하여 변화되고 있다는 사실과 의도적으로 납을 제외시킨 흔적이 명백하게 드러났다. 제작기법 면에서는 주조를 근간으로 하되 단순히 주조로만 이루어진 경우와, 주조와 단조 또는 주조와 담금질을 병행한 경우, 그리고 주조와 단조와 담금질을 모두 병행한 경우가 관찰되었다. 한편 비소를 함유하는 유물에서는 주석함량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으며 두드림 작업이 생략되고 있었다. 담금질처리가 수행된 점이나 합금원소에서 납을 제외시킨 점 그리고 비소가 함유된 유물에 두드림이 생략된 점은 모두 당대의 장인들이 합금의 조성과 제작기법 간의 상관관계를 이미 완벽하게 파악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처리는 모두 주석함량이 높은 청동기에서 소재의 취성을 낮추기 위하여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이를 인식하여 실천할 때에 비로소 청동기 기술체계는 완숙한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왕경 출토 청동기에서 확인되는 다양한 수준의 제작기술을 제시함으로써 이 시기가 우리나라의 청동기 기술수준이 정점에 이르게 되는 변화의 시기였음을 보이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