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韓國) 고대(古代) 궁원지(宮苑池)의 전개양상(展開樣相)과 사상적(思想的) 배경(背景)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aspect of development 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a pond a place of Korea

  • 발행 : 2004.12.20

초록

지금까지 한국 고대 궁원지에 대한 연구는 조경학의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 왔으나 고고학적 발굴을 직접 담당하는 연구자들에 의해서는 단편적인 유적이나 유물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언급되었을 뿐 전반적이거나 종합적인 연구는 미약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지금까지 발굴조사된 궁원지의 분류작업을 통해 한국 고대 궁원지의 계통관계를 파악하고, 궁원지 조영의 사상적 배경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한국의 고대 궁원지는 평면형태에 따라 방지계(I)와 곡지계(II)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방지계(I)는 다시 섬 가산 정원석의 존재 여부에 따라 IA식과 IB식으로 세분되었다. 그리고 곡지계(II)는 호안이 곡선만으로 구성된 IIC식과 호안에 곡선과 직선이 함께 사용된 IID식으로 구분되었다. 또 규모에 따라서 최대직경 45m 이상의 대형(a)과 20m 미만의 소형(b)으로 구분되므로 결국 한국 고대 궁원지는 IAa IAb IBa IICa IICb IIDa로 분류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궁원지가 처음 확인되는 초창기부터 방지계와 곡지계는 공존하고 있었으며 신라의 삼국통일 후, 궁원지의 계승 및 변화의 양상이 나타난다. 즉, 통일신라에서는 평면형태가 직선+곡선으로 이루어진 궁원지를 주로 받아 들이는 반면, 발해에서는 고구려계의 방형플랜을 가진 궁원지를 계승하는 점은 앞 시기로부터의 연속성이 엿보인다. 한편, 평면형태의 계승관계와 달리 구성요소 면에서는 삼국시대에 존재하지 않던 섬상부의 정자터, 원지내 교각시설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양상은 이웃한 일본에서도 동시에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7세기 후반~8세기 전반에 한 중 일 궁원지 조성에 새로운 변화의 동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궁원지 조영의 사상적 배경은 신선사상과 불교로 대별된다. 한국과 중국의 궁원지에 관한 기록이 모두 신선사상의 용어가 사용되는 점이나 한국 궁원지에서 섬 가산 정원석과 같은 구체적인 표현기재가 나타나고 있는 점, 그것이 제외된 궁원지와 뚜렷히 구분된다는 점등을 고려하면, 섬 가산 정원석이 사용된 궁원지는 신선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섬 가산 정원석이 제외된 궁원지는 동시기 신선사상이 반영된 곡지계 궁원지와 형식상 명확히 구분되고 있는 점과 동시기 사원지와 형태 구조상 동일하다는 점에서 불교저 색채가 짙다고 할 수 있다.

Up to now, the studies for a pond of ancient palace of Korea are mainly achieved in a landscape architectural field. In fact, we can't grasp the general aspects but we are only heard about the fragmentary ruins and remains by the people who are in charge of an archaeological excavation. In this thesis, therefore, I attempt to grasp the relational categories of the ponds of an ancient palace of Korea, and find out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the ponds of a palace construction through classify them excavated so far. The ancient ponds of Korea are divided to the class of square ponds(I) and curved ponds(II) according a shapes of planes. The class of square ponds(I) are subdivided to the form IA of the class of square ponds and form IB of the class of square ponds by whether it has an island, artificial hill and ornamental stone or not. And the class of the curved ponds(II) are divided to the form IIC that is only composed of curves in shore and the form IID that is composed of curves and straight lines. According the size, it is divided to a small size that is below the maximal diameter, 20m, and a large size that is more than 45m, after all, the ponds of the ancient palaces are devided to IAa, IAb, IBa, II Ca, IICb, IIDa. The square ponds and the curved ponds are co-exist from the initial stage when a pond of a place was found in our country and are succeeded or changed after Silla unified the three Kingdoms. In other words, we can infer a continuity from the earlier stage from the fact that there is a flat figure ground mainly constituted by the ponds of a palace mixed up of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in United Silla Kingdom while it succeeds the ponds of a palace that has a square form of Goguryo in Balhai. Different from the successional relation of the flat figure grounds, in an aspect of the elements of the construction, the site of the arbor at the top of the island and the bridge facilities in a field of a palace those are not exist in three Kingdoms period are appeared in United Silla Kingdom. The point that this aspect is simultaneously appeared in a neighboring country, or Japan, allows us to infer that there may be some motivations cause the changes in a construction of the ponds of a palace of Korea, China and Japan from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the ponds of a palace construction are divided roughly into Taoism and Buddhism. We can recognize that the ponds of a palace made up of the islands, the artificial hills and the garden rocks reflect Taiosm, considering the records of the ponds a palace of Korea and China are all use the term, Taoism, or the concrete statement represents that the islands, the artificial hills and the garden rocks ar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onds of a palace of Korea. Both two are, therefore, obviously differentiated from the ponds of a palace that doesn't include them. We can conclude that the ponds of a palace that doesn't include them are colored by Buddhism since they are overtly distinguished from the class of curved ponds that reflect Taoism at the same period and they are identical with the site of an ancient temples in an aspect of their type and constru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