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 있어서의 뚜렛 장애와 COMT유전자간의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

ASSOCIATION BETWEEN TOURETTE DISORDER AND CATECHOL-O-METHYL TRANSFERASE(COMT) GENE IN KOREAN SUBJECTS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청소년 정신과)) ;
  • 임재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청소년 정신과)) ;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소아,청소년 정신과))
  • Kim, Boong-Nyu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Institute Seoul) ;
  • Lim, Jae-I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Institute Seoul) ;
  • Cho, Soo-Churl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linical Institute Seoul)
  • 발행 : 2004.12.31

초록

연구목적:본 연구는 한국인에 있어서의 뚜렛 장애 환아 가족에서 COMT유전자의 유전적 다형성과 뚜렛 장애와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위험 대립 유전자와 특정 임상 양상(틱 증상의 중증도, 공존 질환, 약물 반응)과의 관련성에 대한 것도 함께 연구하였다. 방 법:환아군은 서울대학교 병원 소아 청소년 분과의 틱 장애 클리닉에서 모집하였고, 두 단계의 평가를 거쳐 선별되었다. 우선 모든 환아와 부모는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Present and Lifetime Version(이하 K-SADS-PL)한국어판을 이용한 반구조적 면담을 받았고, 다음으로 모든 부모에게 임상적 면담을 시행하고 YGTSS한국어 판을 이용하여 틱 증상의 중증도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대조군은 본 병원의 건강증진센터로부터 모집하였고 Symptom CheckList-90(이하 SCL-90)과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이하 SCID-IV)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위 과정을 모두 거쳐 뚜렛 장애가 있는 총 42명의 소아, 청소년과 그들의 84명의 부모, 86명의 대조군이 최종적으로 선별되었다. 표준화된 방법을 이용하여 catecholamine-O-methyltransferase(이하 COMT)유전자의 Val158Met 다형성을 알아보기 위한 유전자형 채취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와 부모, 대조군의 유전적 정보를 수집한 후 환아-대조군 비교와 TDT를 시행하였다. 결 과 : 환아-대조군 연구로부터 L대립 유전자와 LL유전형의 빈도가 뚜렛 장애 환아군에서 유의하게 높음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TDT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 뚜렛 장애 환아군의 세 가지 서로 다른 유전형 사이에 틱 장애의 가족력,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강박증, 약물에 대한 반응, 공존 질환 여부 등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 있어 사례 수가 적고 TDT에서 유의한 결과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석에 조심을 기할 필요는 있겠으나, 본 연구는 COMT유전자의 기능적 다형성과 뚜렛 장애 간에 연관 관계가 있음을 밝혀 낸 최초의 보고라 하겠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the COMT polymorphism with the TD in Korean sample of families with TD prob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alleles and specific clinical features (tic severity, comorbidity, drug response) was also explored. Method :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Tic Disorder clinic at the Child & Adolescent Psychiatric Divis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assessed through 2 stage evaluation. Firstly, all the patients and parents received semistructured interview using Korean version of K-SADS-PL. Secondly all the patients received clinical interview and tic severity assessment with Korean version of YGTSS. The subjects in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the health promotion center in out hospital and were evaluated by SCL-90 and SCID-IV. Through these process, total of 42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D, their 84 parents and 86 control subjects were finally recruited. Genotyping for The Val158Met polymorphism of the COMT gene was done by standardized method. After collection of genetic data of all the patients, parents and control subjects, case-control comparison and tranmission dysequilibrium test was executed by SPSS version 11. Result : From the case-control comparison, the frequency of L-allele and LL genoty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D group.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from the TD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n family history of tic, ADHD, OCD, drug response and comorbid conditions among the three different genotypes in patients with TD. Conclusion : Though this study results should be interpreted cautiously due to small sample size and negative finding in TDT test,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that there is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functional polymorphism of COMT gene the T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