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치료 약물 Methylphenidate IR의 순응도 연구

COMPLIANCE STUDY OF METHYLPHENIDATE IR IN THE TREATMENT OF ADHD

  • 황준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청소년 분과)) ;
  • 조수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청소년 분과)) ;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소아청소년 분과))
  • Hwang, Jun-Wa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o, Soo-Churl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Boong-Nyu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4.12.31

초록

목 적: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치료를 위해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속방형 메틸페니데이트(methylphenidate-immediate releasing form:MPH-IR)에 대한 약물 순응도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외래를 통한 평균 1년 기간의 약물치료 과정에서의 약물 순응도를 평가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방 법:2002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외래를 처음 방문하여, DSM-Ⅳ에 근거한 ADHD 진단을 받고 MPHIR로 약물치료를 시작한 환아들 중 선별기준에 합당하고, 배제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환아를 무작위 선발을 하여 100명의 대상 환아를 모집하였다. 상기 환아들을 대상으로 2003년 3월부터 4월까지 약물순응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 후 6개월이 경과한 시점인 2003년 10월, 동일 100명의 환아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정보, 발달력, 가족력, 공존장애, 약물치료력, 약물 반응, 약물순응도를 평가하였고, 심리학적 평가로서, 지능검사, 기초학습검사, 주의력장애진단 검사결과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평균 치료기간 1년 동안의 약물치료 순응도를 평가하였고, 순응도에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을 조사하였다. 결 과:1) 평균 약물치료기간 6개월이 되는 시점인, 2003년 3월에 실시한 약물순응도 설문조사에서, 치료효과 만족도는 60%였고, 오전처방 순응율은 81%, 오후처방 순응율은 43%로 큰 차이를 보였다. 2) 평균 약물치료 기간 1년이 되는 시점인 2003년 10월의 조사에서는, 외래 약물치료를 지속적으로 받는 아동이 62%였고, 38%는 약물치료를 자의로 중단하였다. 3) 약물치료 탈락군(비순응군)과 지속적인 치료를 받고 있는 군(순응군) 사이에 임상적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부모학력, 사회경제상태, 아동 나이 및 성별 등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에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고, 아동의 발달력, 출산 및 주산기 문제, 의학적 문제, ADHD 외 공존병리 등에서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심리학적 변인에서는 지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순응군이 전체지능지수, 언어 및 동작성 지능 지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상식, 산수, 토막짜기 점수도 유의하게 높았다. 약물치료력에 있어서는 임상가가 평가한 약물 반응이 순응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약물 용량도 순응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오후 약물 순응율(2003년 3월 평가)도 유의하게 순응군이 높았다. 또한 주치의의 지휘에 따라서도 순응율에 차이를 보였다. 결 론:국내에서는 최초로, 외래 치료를 받고 있는 ADHD 아동에 대한 MPH-IR 순응도를 조사하였다. 평균 1년 치료기간동안의 순응도는 62%로 외국에서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지능이 높을 때, 약물반응이 우수하고, 약물용량이 높으며, 오후약물에 대한 순응이 초기에 높을 때 약물 순응률이 보다 높았다. 결국 약물치료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순응률 결정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되며, 약물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약물 순응도를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on the compliance of methylphenidate-immediate releasing form(MPH-IR),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used drug in Korea,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liance rate and the related factors in the one year pharmacotherapy process via OPD for children with ADHD. Method : Total 100 ADHD patients were selected randomly among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with MPH-IR from September in 2002 to December in 2002. All the selected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DSM-IV-ADHD criteria and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In March, 2003(at the time of 6 month treatment), all the patients and parents received the questionnaire for the compliance and satisfaction for MPH-IR treatment. In October 2003(at time of 1 year treatment), we, investigators evaluate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developmental data, medical data, family data, comorbid disorders, treatment variables, and compliance rate. Through these very comprehensive data, The compliance rate at the time of mean 1 year treatment and the related factors were investigated. Result : 1) In the questionnaire for compliance and satisfaction for MPND treatment, the 60% of respondents(parents) reported more than moderate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effectiveness of MPND. Their compliance rate for the morning prescription was 81%, but the rate of afternoon prescription was 43%. 2) In the evaluation at the time of 1 year treatment(October 2003), the 38% of parents were dropped out from the OPD treatment. The mean compliance rate for the 1 year treatment was 62%. the 38% of parents were dropped out from the OPD treatment. The mean compliance rate for the 1year treatment was 62%. 3) Compared with the noncompliant group(drop-out group), compliant group showed higher total, verbal and performance IQ scores. In the treatment variables, higher reposponder rate(clinician rating), higher medication dosage and more compliance rate in afternoon prescription were found in the compliant group compared with the noncompliant group.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variables(age, sex, SES, parental education level), medical data, developmental profiles and academic function. Conclusion :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about the compliance rate of the MPH-IR treatment for the children with ADHD. The compliance rate at the time of mean 1year treatment was 62%, which was comparable with other studies performed in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States. In this study, the compliance related factors were IQ score, clinical treatment response, dosage of MPH-IR, and early compliance for the afternoon prescrip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linician plan the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the early compliance for the after prescription and enhancement of overall treatment respon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