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억제능력, 계획능력, 그리고 작업기억 능력

INHIBITION, PLANNING, AND WORKING MEMORY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김귀애 (김원묵기념 봉생병원 신경정신과) ;
  • 김상엽 (김원묵기념 봉생병원 신경정신과) ;
  • 홍창희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
  • 이명주 (김원묵기념 봉생병원 신경정신과)
  • Kim, Gui-A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Bong-Seng Memorial Hospital) ;
  • Kim, Sang-Heop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Bong-Seng Memorial Hospital) ;
  • Hong, Chang-Hee (Department of Psych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Myoung-Ju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Bong-Seng Memorial Hospital)
  • 발행 : 2004.06.30

초록

목 적:본 연구에서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주요 3가지 실행기능 영역인 억제능력, 작업기억, 그리고 계획능력 면에서 정상아동과의 수행차이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실행기능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나이와 지능을 통제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억제통제능력을 인지억제와 행동억제로 구분하여 수행을 비교연구 하였다. 방 법:대상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로 진단된 아동 25명으로 연령범위는 7세에서 12세였고, 비교집단은 동일연령의 정상 아동 25명이였다. 모든 아동들에게 개별적으로 지능검사와 실행기능 검사(고노고, 스트룹 간섭과제, 하노이탑, 숫자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나이와 지능을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을 하였다. 결 과:지능에서 ADHD아동과 정상아동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나이는 각 실행기능 검사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ADHD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서 억제능력과 작업기억에서 유의미하게 저조한 수행을 보였다. 하지만, 지능과 나이를 통제했을 경우, 작업기억과 계획능력에서는 수행차이가 없었다. 논 의:ADHD아동은 전반적인 실행기능에서 손상을 보이는 것이 아니라 억제능력(인지억제와 행동억제)에 어려움이 있으며, 억제능력이 ADHD의 주요결함임을 시사해준다. 이와 같은 결론은 치료적 개입시 인지억제 및 행동억제에 중점을 둔 치료방법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Objectives:The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xecutive function(EF;Inhibition, Planning and Working memory) between ADHD and normal group, and to controll the effect of age and intelligence. And the function of inhibition was assessed in two dimensions(cognitive inhibition and motor inhibition). Methods:K-WISC III and EF test(Go-No-Go, Stroop test, Tower of Hanoi, Digit) was administered to both 25 children with ADHD and 25 normal control participants, all aged between 7 and 12. The results were analyzed after statistically controlled for age and intelligence. Results:Children in the ADHD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IQ sc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nd consistent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child's age and the study's major variables. Once IQ and age were controlled, results indicated that children with ADHD had deficit only cognitive inhibition and motor inhib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ning and working memory.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pecific deficits in inhibition control rather than general EF deficits are associated with ADHD. So inhibition is the core problem of children with ADHD. Thus, the therapeutic approach focused on cognitive inhibition and motor inhibition is requir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