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평행봉 2회전 뒤돌아 무릎 구부려 내리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Kinematic Analysis of Double Backward Somersault on the Parallel Bars

  • 발행 : 2004.04.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athletic performances by analyzing the kinematic variables of the Double Backward Somersault on the Parallel Bars through the 3D motion analysi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 male gymnasts who were ranked as national athle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 total time(Mean Time) of performance showed $2.72{\pm}0.82\;sec$. and flight time to landing after releasing was 0.87sec.(mean). In order to perform better stable flying movement, the flight time should be increased. 2. In the change of velocity of the center of mass, when the increasing ascension velocity of the upper point was high, the position in the top point was high on releasing. 3. In the position variable of the center of mass, the mean of upper-bottom position in horizontal posture was $242.1{\pm}6.5cm$, $232.8{\pm}6.4cm$ in releasing, and $265.0{\pm}5.6cm$ in the highest point. This result is explained that the position of center of mass can be raised by using elastic power when wrist raised the bar in the releasing movement. 4. The angle of shoulder joint was $271.1{\pm}14.0$. Such a big angle influences a negative effect on the releasing velocity, because trunk is not a position in the enough vertical direction. 5. The ankle of hip joint in hand-standing was $191.1{\pm}5.9$, $118.8{\pm}5.3$ in releasing, and $122.3{\pm}5.3$ in taking on. Therefore, the result suggests that trunk should be straightly raised in taking 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병의(1997). 평행봉 Healy 버티기 동작의 3차원 운동학적 요인분석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병의(1998). 평행봉 무릎펴고 2회전 뒤 공중돌아 내리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과학 연구원.
  3. 김동민(1997). 철봉 뒤 휘돌기 유형에 따른 내리기 기술의 생체역학적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동민, 류지선, 한충식, 박종훈(1997). 철봉 내리기 동작시 몸펴 두바퀴 뒤공중돌며 비틀기 동작의 유형에 따른 공중동작 국면의 운동학적 특성. 제 35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773-779
  5. 김충태, 이연종, 윤창선(1995). 평해봉 Moy Piked to Support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대학교 체육연구소 논문집, 제14권, 제1호 pp. 215-220
  6. 안완식(1996). 평행봉 Tippelt 오르기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35권 제2호. pp. 323-332
  7. 오문균(1997). 철봉에서 몸펴 2회전 뒤돌며 2회 비틀어 내리기 기술의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제7권 제1호 pp. 71-90
  8. 윤정환(2003). 평행봉 Morisue piked 동작의 몸통회전각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42권 제2호. pp. 475-484
  9. 이여송(1984). 철봉 운동중 뒤 공중 돌아내리기의 동작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용식, 이정식(1995). 평행봉 뒤 공중 돌아 물구나무서기 동작분석. 한국체육학회지. 제34권 제2호. pp. 354-362
  11. 이종훈, 이용식(2003). 철봉운동 Adler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한국학교체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 89-96
  12. 한충식(1992). 제11회 북경 아시아경기대회 체조경기 연기내용의 가치점과 완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제10호. pp. 59-72
  13. 한충식, 조성동, 안애정(1995). 체조 경기시 국.내외 우수선수의 종목별 가점내용에 관한 비교 분석.조마, 평행봉, 철봉을 중심으로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 제13권 pp. 207-213
  14. 황경숙, 곽창수, 조승구, 진성태(1988). 평행봉의 2회전 뒤로 돌아 내리기 동작분석. 한국체육과학연구원 스포츠과학연구소 논문집. pp. 1061-1113
  15. Kwon, Y.H(1994). Kwon 3D Motion Analysis Package Ver 2.1 Reference Manual.
  16. Plagenhoef, S.(1983). Patterns of human motion. Englewood Cliffs. NJ: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