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Internet Addic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heonan, and Rural Area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 고교 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비교 연구

  • Lee, Seok-Bum (Chungbuk Hospital) ;
  • Lee, Kyung-Kyu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Paik, Ki-Ch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 Kim, Hyun-Woo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 이석범 (충북병원) ;
  • 이경규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백기청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현우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2.15

Abstract

Objectives : Internet addiction is a newly appeared addictive phenomenon that is defined as 'difficulty in real life due to internet over-use', 'excessive time spent on the internet or replacement of genuine real relationships with superficial virtual ones' or 'weakness in self-control about internet use and if discontinued, fallen in psychological confusion and anergic stat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internet addiction rate, demographic factors, computer using patterns, anxiety, depression, and interne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betwee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ree areas - Seoul, Cheonan, and Rural areas - that were different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Methods : Subjects are consisted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Chunan, and Rural areas(N=1718). Self-rating questionnaire included demographic data, Korean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Korean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questions for internet-using pattern, Korean version of Internet Addiction Scale invented by K. S. Young, Interne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ale. Results: In this study,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was 2.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in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mong three areas. In all subje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depression, internet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leisure style, places of internet use, internet connecting method, and insight on internee addiction. But, in addict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area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was not related to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l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xiety, depression, self-efficacy associated with internee use, leisure style, places of internet use, internet connecting method, insight on internet addiction among three a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cted group among three areas. So, we concluded that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did not influence the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nd despite the difference in economic, cultural, and geographic state, people in three areas were equally influenced by internet addiction.

연구목적: 인터넷 중독이란 '과도한 인터넷 사용에 의해 현실생활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 '인터넷에 과도한 시간을 사용하거나 현실세계에서의 진정한 인간관계가 가상공간에서의 표면적인 관계로 대치되는 것', '인터넷 사용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이 현저히 약하고 사용을 금지할 경우 심리적 혼돈과 무기력에 빠지게 되는 상태' 등으로 정의되는 새로운 형태의 중독 현상을 지칭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여건이 다른 서울, 천안, 농촌지역 중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율, 인구학적 변수들, 컴퓨터 사용성향, 불안성향, 우울, 그리고 가상공간을 통한 자기 효능감이 각 지역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군은 서울, 천안, 천안근교 농촌 소재의 남녀 중고교생 17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대한 문항들, the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김정택이 번안한 한국판 상태-특성 불안척도,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을 이중훈이 번안한 한국판 자기평가 우울척도, 인터넷 사용 성향을 묻는 문항들, Young, K. S.의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를 윤재희가 번안하였고 본 연구자가 청소년에 맞게 수정한 인터넷 중독척도, J. W. Henry & R. W. Stone이 개발한 comput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ale과 Paulhus, Delroy가 개발한 Spheres-of-Control Battery Item을 송원영이 번안, 수정하여 사용한 가상공간 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및 결과기대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해당학교장의 협조를 받아 교실 내에서 학생들이 작성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시행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전체 대상군의 인터넷 중독율은 2.9%였으며 세 지역간에 인터넷 중독율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농촌이 서울이나 천안에 비하여 높은 불안, 우울정도를 보였고,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높은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보였으며 천안, 서울, 농촌 순으로 여가생활을 혼자 지내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전체 대상군의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소에 있어서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가정이 많았으며 인터넷 접속방법에 있어서도 서울, 천안, 농촌 순으로 초고속 인터넷의 사용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는 전체 대상군의 경우 서울, 천안, 농촌의 순으로 인터넷에 중독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독군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는 이러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인터넷 중독율은 세 지역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불안, 우울, 가상공간활용에 대한 자기효능감, 여가형태, 인터넷 접속장소, 인터넷 접속방법,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전체 대상군에서는 세 지역간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독군의 경우에는 이러한 차이가 없어 지역간 중 고교 학생들의 심리적 상태, 여가형태, 인터넷 환경,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있으나 인터넷에 중독되면 이러한 차이가 없어지고 비슷한 형태의 중독군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