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a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Emotion of Pregnant Women

기공에 기초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산모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Hyu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Kim, Mu-Jin-Haeng (Department of Qigong Practice,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Lee, Eun-Hee (Department of Social Work Service, Ajou University Hospital) ;
  • Suh, Shin-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Yook, Ki-Wha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 Choi, Tae-Kyou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Pochon CHA University)
  • 이상혁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김무진행 (포천중문의대 대체의학 대학원 기공교실) ;
  • 이은희 (아주대학교병원 사회사업팀) ;
  • 서신영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육기환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 최태규 (포천중문의대 분당차병원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2.15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in pregnant women. Method: A 8 week controlled clinical trial compared 52 pregnant women assigned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40 pregnant women assigned pregnancy health education progra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EPD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pielberger trait state inventory-1(STAI-1),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HAM-D), Hamilton anxiety scale(HAM-A) were used to measure anxiety and depression level. Result :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education control group on four measures above.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t 8 weeks termination on all measures of anxiety and depression compared to pretreatment level.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qigong-based stress management program can be an effective method for pregnant women.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기공에 기초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산모의 우울, 불안 등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임신 16주 이상의 산모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공프로그램군은 8주동안, 일주일에 2번씩 기공프로그램에 참여한 5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군은 8주동안 1주일에 1번씩 산모교육에 참여한 40명으로 구성되었다. 평가도구는 우울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해밀턴 우울 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벡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에딘버러 산후 우울증 척도(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EPDS)를 이용하였다. 불안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스필버거 특성 상태 불안척도-1 (Spielberger trait state anxiety inventory-1, STAI-1), 해밀턴 불안 척도(Hamilton anxiety scale, HAM-A)를 이용하였다. 기공과 교육 프로그램 시작전, 이후 2주, 4주, 8주에 걸쳐 산모의 우울, 불안 수준을 상기 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기공프로그램군은 프로그램 시작 전과 8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불안과 우울 수준이 모든 척도에서 호전되었다. 반면 교육군은 시작 전과 8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한 호전은 없었다. 두 집단의 프로그램 전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기공프로그램군이 교육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기공에 기초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산모의 불안과 우울감을 조절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