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Computer Education as Subject Matter

교과로서 컴퓨터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 Yoo, In-Hwa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t. of Computer Education) ;
  • Koo, Duk-Hoi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ept. of Computer Education)
  • 유인환 (대구교육대학교 전산교육과) ;
  • 구덕회 (대구교육대학교 전산교육과)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The rapid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eyond the argument of information society, has invoked discussion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enhanced the importance of the producing knowledge by using implementation of ICT. However, current computer education, without exactly defining the conception of ICT and direction of computer education, has great limitations in applying into education because it has mechanical characteristics and is not satisfying the demands of education that is supposed to bring up the creative human beings in current knowledge-based society. This study starts from the recognition of such problems. This paper explores the current computer education and argument. In addition, we researched necessity and direction of the computer education as subject matter.

ICT의 급속한 발달은 정보 사회에 대한 논의를 넘어서 지식 사회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키며, ICT를 활용한 지식 창출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컴퓨터교육은 ICT에 대한 개념이나 방향 설정이 미비한 채로 그 활용만을 위주로 전개되고 있는 형편이다. 현행 컴퓨터교육은 ICT의 기계적인 활용이 강조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에 지식 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조적 인간상 육성에 부합하기 힘든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컴퓨터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공하고자, 우리나라 컴퓨터교육의 현황과 논쟁을 살펴보고,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컴퓨터교육의 개념과 지평, 교과로서 컴퓨터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