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지하수중 비소의 산출 및 존재형태

Occurrence and Species of Arsenic in the Groundwater of Ulsan Area

  • 윤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조병욱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 성규열 (고려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Yun Uk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Cho Byong-Wook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Sung Kyu-Youl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Korea University)
  • 발행 : 2004.12.01

초록

울산광역시 46개 지하수 시료 중 29개 시료에서 비소가 검출되었고, 그 농도는 $<0.1-7.2{\mu}g/L$의 범위를 나타낸다. 그 중 3개의 지하수에서 국내음용수 기준치$(50{\mu}g/L)$를 초과하였고, 10째 시료에서는 세계보건기구 기준치인 $(10{\mu}g/L)$를 초과하고 있음이 이번 연구에서 밝혀졌다. 비소의 농도가 높은 곳은 지질구조선 부근 특히 과거 울산철광 부근인 달천리 일대와 정자역암이 분포하는 효문동 일대이다. 울산철광 부근은 주로 황철석이 산화된 형태로 산화환경을 보이나, 효문동 일대는 환원상태의 FeOOH의 산화에서 야기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pH-Eh 도표에 따른 연구지역 지하수중 비소의 존재형태는 달천리 일대에서는 As(V)로 $H_2AsO_4^-,\;HAsO4_^{-2}$로 존재한다. 효문리등 구조선일대는 As(III)로 $H_3AsO_3$ 형태로 존재한다.

Arsenic was detected in the 29 water samples out of the 46 groundwaters located in the Ulsan metropolitan area and it's concentration ranges from $<0.1\;to\;72{\mu}g/L$. Among them the arsenic concentrations of three samples are over domestic drinking-water requirements $(50{\mu}g/L)$, and those of 10 samples are more than WHO MCLs, $10{\mu}g/L.$. High arsenic groundwater were recognized in the two region; one was near the tectonic line, especially Ulsan iron mine at Dalcheunri and the other was around Hyomundong distributed Jeongia conglomerate. It is estimated that the former is originated from pyrite oxydation type, oxygenated redox, whilst the latter is resulted from oxidation of reducted FeOOH. The species of arsenic in groundwater is in pentavalent arsenic, $H_2AsO_4^-,\;HAsO4_^{-2}$ near tectonic line, and trivalent arsenic, $H_3AsO_3$ around Hyomundo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