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olving Grammatical Marking Ambiguities of Korean: An Eye-tracking Study

안구운동 추적을 통한 한국어 중의성 해소과정 연구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An eye-track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resolving processes of grammatical marking ambiguities of Korean. and to evaluate predictions from the garden-path model and the constraint-based models on the processing of Korean morphological information. The complex NP clause structure that can be parsed according to the minimal attachment principle was compared to the embedded relative clause structures that have one of the nominative marker (-ka), the delimiter (-man, which roughly corresponds to the English word 'only'), or the topic marker (-nun) on the first NPs. The results clearly showed that Korean marking ambiguities are resolved by the minimal attachment principle, and the topic marker affects reparsing procedures. The pattern of eye fixation times was more compatible with the garden-path model, and was not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s of the constraint-based account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made.

한국어의 문법적 표지 중의성 해소 과정과, 한국어의 형태론적 정보 처리과정에 관한 길-혼동 의형과 제약-기반 모형의 예측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안구운동 추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소부착원리에 따라 구문분석될 수 있는 복합 명사구 구조와, 첫 명사에 주격조사 (-가/이), 한정사(-만), 및 주제표지(-는/은)가 부착되는 삽입 관계절 구조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한국어의 표지 중의성이 최소 부착의 원리에 따라 해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주제표지는 재분석 과정에 영향을 끼침을 알 수 있었다. 안구 고정 시간의 양상은 길-혼동 모형과 더 일치했으며, 제약-기반 설명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