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stribution and Scale of Book in the Reign of King Jeong-jo as "Kyujangjeonun"

[ "규장전운" ]을 통해서 본 정조조의 서적 반사와 그 규모

  • 신승운 (성균관대학교 인문학부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best way of getting knowledge is reading in the Cho-sun dynasty, so getting books is the most interesting thing to the scholars. The most important way of getting books for scholars in Cho-sun dynasty is taking Bansabon published and given to scholars by government. but there is few data and few concrete studies of it. This study deals with the object and the scale of distribution of books on the basis of Bansagi ; king Jeong-jo published 『Kyujangjeonun』 distributed about 1,500 volumes to scholars and govermment agencies.

조선시대의 서적의 출판과 그 유통은 국가가 중심이 되어 편찬하고 간행하여 제한된 신분의 신료에게 배포하는 소위 반사본이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국왕이 반사하는 반사본이 그 숫자가 극히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당시의 관료$\cdot$학인들이 새로운 서적을 습득하게 되는 중요한 제도였기에 서적의 반사대상을 연구하는 것은 지식의 습득에서 책이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절대적이었던 상황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서적 유통의 문제는 서지학의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분야임에 틀림없지만 이러한 유통에 관한 자료가 극히 희소한 관계로 종래에는 현존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류를 차지하였다. 반사본의 연구도 그 중의 일환이었다. 정조의 부단한 관심과 지원하에 이덕무가 중심이 되어 편찬하고 여러 신료들의 교정을 거쳐 정조 20년 (1796)에 반사된 $\ulcorner$규장전운$\lrcorner$ 의 반사기는 그 수사 대상자가 방대하고 또 그 대상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어서 조선후기의 서적 반사의 대상과 그 규모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 글에서는 $\ulcorner$규장전운$\lrcorner$의 반사대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다루었으며, 특히 책을 반사 받은 사액서원의 분포를 자세하게 다루었다.

Keywords

References

  1. 奎章閣. '內閒日曆'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
  2. 奎章閣. '奎章閣志' 刊本(影印本). 서울 : 서울대학교 규장각,2002.
  3. 奎章閣. '奎章閣志' 再草本 (影印本). 서울 : 서울대학교 규장각,2002
  4. 奎章閣. '奎章閣志' 刊本 (影印本). 서울 : 서울대학교 규장각,2002
  5. 承政院. '承政院日記' 第32冊(影印本). 서울 : 국사편찬위원회,1961
  6. 實錄廳. '魯山君日記' (影印本). 서울 : 국사편찬위원회,1986
  7. 實錄廳. '正祖實錄(影印本), 서울 : 국사편찬위원회, 1986
  8. 徐有榘著,洪命意 校. '鐘板考' . 京城: 大同出版社,1041
  9. 徐有榘. '林園十六志' (영인본) 서울 : 保景文化社,1983
  10. 李德懋,. '靑莊館全書' (影印本,韓國文集輩刊 第257-259輯). 서울 : 民族文化推進會, 2000
  11. 正祖 '奎章全韻'
  12. 正祖 . '大典通編'
  13. 正祖 . '弘驚全書' (韓國文集叢刊 第262-267輯). 서울 : 민족문화추진회,2001
  14. 丁若鏞,'與猶堂全書' (韓國文集護刊 제281輯). 서울 : 민족문화추진회,2002
  15. 李仁榮. '淸芬室書目' (영인본). 서울 : 寶蓮閣,1968
  16. 姜信抗. '韓國韻書硏究 三韻聲彙와 奎章全韻을 중심으로.' 成大文學,제15 . 16輯(1970)
  17. 白麟 '內賜記와 宣賜之記에 대하여,' 國會圖書館報, 6-8(1969)
  18. 정경일. 奎章全韻 硏究.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1984
  19. 尹炳泰.'內賜記와 內賜印記,' 도서관학연구,8(숭의여자전문대학 도서관과,1987)
  20. 김순희. 奎章全韻의 書誌學的 硏究. 서울 : 상명여대대학원,1988
  21. 千惠鳳. '領韻本,' 韓國民族大百科事典,제9책. 성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1989
  22. 沈喁俊. 日本에 傳存된 內賜本 . 內賜版式 . 古文書套式 硏究. 서울: 一志 社,1990
  23. 姜順愛. '규장각의 圖書頒賜에 대한 硏究,' 書誌學報,創刊號(1990)
  24. 安秉禧. ;內賜本의 한 硏究,' 藏書閣. 성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2002
  25. 中村榮孝. '朝鮮官版の 內賜記と 國王印に 就ぃて,' 朝鮮學報,25(朝鮮學會,19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