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cognition for Asian-dust in North-East Asia

동북아 황사문제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Dust phenomenon is a critical thing in the East Asian countries. However, it is quite recent that Asian dust has drawn much attention and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of dust particles began. In this study, the recognition for Asian-dust in Northeast Asia region was analyzed.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the people generally recognize the origins and seriousness of Asian dust and understand the difficulty in solving the dust related problems. However, approaches to figure out Asian dust have many difficulties and limits in scientific, economic and political points of view and more detailed road map is needed based on government policy.

Keywords

References

  1. 박순웅, 2004, 황사와 그 연구현황, 한국대기환경학회 황사 워크샵 2004, 3-22pp
  2. 이지훈, 2003, 황사의 피해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19pp
  3. 안광일, 1999, 유럽에서의 월경대기오염관리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논문집, 28, 141-151
  4. 김성윤, 김용우, 안형기, 이기한, 정회성, 1999, 환경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 체계 - 동북아 환경개선 방안 -, 한국정책과학학회보, 3, 1-38
  5. 안광일, 1998, 동북아시아의 산성비 관련 환경갈등 관리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인문사회과학논문집, 27, 137-151
  6. 김정인, 박창원, 1999, 중국의 환경오염 현황과 대응방안, 자원경제학회지, 7(2), 1-30
  7. 김정인, 2001, 중국의 대기오염 배출 저감을 위한 한중일 에너지 환경 협력 방안, 자원경제학회지, 10(4), 591-617
  8. 김창남, 천인호, 2000, 동북아 국가간 월경대기오염 저감방안, 동북아 경제 연구, 11(2), 37-63
  9. 민병승, 1996, 동북아 지역의 환경문제와 국제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5pp
  10. 추장민, 정회성, 강광규, 유난미, 김미숙, 2003, 동북아 지역의 황사피해 분석 및 피해 저감을위한 지역협력 방안(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2pp
  11. 김정인, 2003, 중국의 환경정책과 황사 발생 저감을 위한 동북아 환경협력, 동북아경제연구, 15(3), 87-120
  12. 원동욱, 2003, 황사문제와 동북아 환경협력 - 권력, 이익 그리고 지식의 상호작용연구, 중소연구, 27(3), 63-97
  13. 문태훈, 1998, 동북아 환경오염확산 방지를 위한 협력 체제 구축방향, 한양도시포럼 심포지움 논문집 , 147-164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