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분야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

A Study on Job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Curriculum for the Environmental field

  • Ju In-Jo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Park Jong-Su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발행 : 2004.09.01

초록

이 연구는 1998년부터 수행된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기초 연구로서 교육 훈련 자격 분야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2002년도에 개발된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고, 2003년에 이 연구와 함께 수행된 $\ulcorner$직업 변동에 관한 연구(III)$\lrcorner$에서 추출된 환경 산업 관련 직업 중에서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선행적으로 요구되는 10개 직업을 선정하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이들에 대한 교육 과정, 훈련 기준, 자격 검정의 출제 기준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작 보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직무분석 관련 선행 내용을 분석하고, 둘째, 직무분석 지침서를 보완하며, 셋째, 직무분석 대상 직업을 선정한 후, 넷째, 직업교육훈련과정 및 출제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직무분석 관련 선행 연구 및 자료 분석, 직무분석 보완 및 대상 직업 선정과 직업별 직무분석을 위한 전문가 협의회, 데이컴법(DACUM process)을 이용한 직무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우선 직업교육훈련과정의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의 모형을 절차별로 정리 제시하였는데, 1단계는 직무분석 준비, 2단계는 직무모형 설정, 3단계는 지식, 기능, 도구 추출, 4단계는 선수 코스 및 교과목 선정, 5단계는 교육 훈련 내용 상세화, 6단계는 출제 기준 설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절차에 따라 10개 직업에 대한 직업별 직무분석이 진행되었다.

This paper, as a continuation of 'Job Analysis for developing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rogram' executed from 1998, is aimed at complementing a guidebook for job analysis developed in 2002 to improve its usage in the areas of education, training and qualification, and at making and distributing basic data to develop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 vocational training, and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in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10 kinds of vocations through job analysis, which were precedently selected, for the purpose, out of environment industry-related vocations drawn from carried out together with this project by our Institute in 2003.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first, to analyze what have precedently been done for job analysis, second, to complement a guidebook for job analysis, third, to select vocations for which job analysis will be made, and fourth, to carry out job analysis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and to distribute comprehensive data made on a basis of the results. Paper methods for the purpose of this paper are an analysis on literatures and data related to job analysis, experts councils for complementing job analysis, selecting target vocations and conducting job analysis by the vocations, and job analysis applying DACUM method. In the first place, this report presents job analysis models by procedures for developing curriculum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he first step is preparation for job analysis, the second step the establishment of job models, the third step the drawn-out of knowledge, skills, and tools, the fourth step the selection of courses and subjects, the fifth step the specifica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contents, and the sixth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making questions. In this paper, job analysis for 10 vocation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se procedures.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외(2001) . '국가전략분야(IT, BT, NT, ET, ST, CT) 인력양성 종합계획'. 대통령 주재 교육인적지원분야 장관 간담회 자료
  2. 나영선. 박종성(2002). 환경기술인력의 육성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조정윤. 김덕기. 김상진. 김수원. 김현수. 나현미. 박종성. 서창교. 이동임. 주인중. 한상근(2001). 국가기술자격 종목 및 제도 개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박석순. 안광국. 강호정. 전효중. 나유미(2001). 자연생태관리기술사. 기사 국가기술자격종목개발 연구보고서. 이화여자대학교
  5. 서창교. 김현수(2001).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1),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신명훈. 박종성(2000). 공인환경평가사. 환경영향 평가사 국가기술자격종목 개발연구 한국산업인력공단
  7. 이용순. 주인중. 정향진(2002). 직업교육훈련과정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2)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주인중. 박종성. 변숙영(2003).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200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3). 직무분석 연구자료
  10. 한상근. 박재민. 전용석. 박종성. 김나라(2003). 직업변동에 관한 연구(III)(환경산업을 중심으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환경부(2000). 환경백서,환경부
  12. 환경부(2002). 환경백서,환경부
  13. EBI(1996). The Global Environmental Industry: A Market and Needs Assessment. EBI
  14. OECD(1996). Assessing and Certifying Occupational Skills and Competencies in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15. OECD(1999). The Environmental Goods and Services Industry: Manual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