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인력의 노동시장 성과 및 근래의 변화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and Its Recent Changes in Korea

  • 투고 : 2004.02.23
  • 심사 : 2004.04.14
  • 발행 : 2004.04.30

초록

근래에 우리나라에는 이공계 기피현상이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데,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과학기술계열 전공 이수자들의 경제적 지위 및 그의 근래의 변화를 여타 전공 이수자와 비교 분석하여 그 같은 '기피' 현상의 경제적 근원을 추론하고자 하였다. 1998년에서 2002년까지의 KLIPS 자료의 분석 결과, 과학기술 인력의 고용상의 지위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부분적으로 상승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측면에서는 이공계 출신은 임금프리미엄을 거의 받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자영소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소득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상으로는 상대소득에 있어서의 추세적인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최상위 5% 소득계층에 있어서 이공계 출신의 상대소득이 하락해 온 것이 확인되었다. 이같은 결과는 소득 효과로 인한 이공계 직종에 대한 보상적 격차 요구수준의 증대와 이공계 출신자(특히 능력 분포상 최상위 계층)에 대한 낮은 상대소득이 이공계 기피현상의 근본 원인임을 제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out the economic roots of the increasing tendency not to choose the science and engineering (S&E) fields in the colleg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lative economic position of the S&E graduates measured in terms of employment qualit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n-S&E graduates. But the S&E graduates earn relatively low wage and self-employment income. Furthermore, the relative income of the top 5% bracket of the S&E graduates has been declining in the recent five years. The paper concludes that low relative income of the average S&E graduates as well as the increasingly lower relative income of the most able S&E personnel, coupled with the increasing compensating differential required for the S&E jobs, is the main reason for the 'avoidance' phenomenon of the S&E field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산학협동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