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on the Status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Facilities for Recycling Food Waste into Resources

음식물 자원화시설의 설치·운영에 대한 일반현황의 평가 및 개선 방안

  • Ryu, Ji-Young (Dept. of Life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
  • Kong, Kyu-Sik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 Shin, Dae-Yewn (Dept. of Life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
  • Phae, Chae-Gun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 류지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환경생물공학과) ;
  • 공규식 (서울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 신대윤 (조선대학교 대학원 환경생물공학과) ;
  • 배재근 (서울산업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04.06.08
  • Accepted : 2004.09.17
  • Published : 2004.09.30

Abstract

This research sought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domestic public resource-making facilities of resource-making facilities and come up with corresponding improvement measures. Currently compost is most numerous set-up out of facilties already established ever since, then the rest of them are feeds, anaerobic degradation, sewage combination, and combination of compost and feeds in order. As such, food waste is processed more into compost than into feeds, presumably because relevant facilities, which were originally designed for processing into feeds, were converted into composting facilities due to little demand for the processed feeds. The finding says that many related firms had yet to register their businesses in accordance with feeds and fertilizers management laws, and that food waste resources-making facilities used various basic facilities but few of them treated food waste in linkage with leaching water, bad odors, and energy. Some of current facilities were found to be 7 years old and thus outdated. Due to lack of skilled operational manpower, many facilities had less than 300 days of normal operation yearly, and some needed minor and serious repairs periodically. In overall facilities, 87% of the planned food waste was rolled in, thus requiring measures to treat the whole planned volume. For costs of resource-making facilities, some with a capacity of below 50 tons topped 100 million won, and facilities with a capacity of over 50 tons required less installation costs. Overall, installation costs ranged from 10 million to 20 million, and to 200 million won per ton, and this suggests a need to establish the installation cost calculation criteria, as well as to reshape the facility criteria. With operating costs varying greatly according to the size and treatment methods of facilities, the finding indicates a need to rationalize the operating costs, and to plan appropriate-siz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facilities to ensure economic operation.

본 연구는 자원화시설 중에서 공공자원화시설을 대상으로하여 시설의 설치에 있어서 일반항목으로 분류되는 설치현황, 운영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시설은 퇴비화>사료화>혐기성>하수병합>퇴비사료병합으로서 사료화보다 퇴비화가 많은 것은 초기에 사료화방법으로 설계했으나, 수요처의 미확보로 퇴비화의 시설로 전환한 것 때문으로 추측되었다. 아직까지 사료관리법 및 비료관리법에 의하여 생산업등록을 하지 않은 곳이 다수 있었으며, 음식물쓰레기 자원화시설이 각종 기초시설과 같은 입지를 사용하면서도 침출수 및 악취, 에너지 측면에서 연계처리를 하는 곳이 적었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일부의 자원화시설은 7년이 경과, 노후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시설을 운전하는 전문인력 부족 등으로 인하여 년간 300일 이상의 정상운전 이루지지 않고 있는 시설이 많은 것으로부터 주기적인 소수선, 대수선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는 전체 처리시설에서 계획량 대비 약 87%의 반입율을 보여주고 있어 계획처리용량의 처리를 위한 대책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원화시설의 설치비용을 조사한 결과, 50톤 미만에서 1억을 상회하는 곳이 다수 관찰되었으며, 50톤 이상에서 낮은 설치비용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적게는 1-2천만원, 높게는 2억원/톤까지 조사되어 시설기준의 정비와 함께 자원화시설의 설치비용에 대한 산출기준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운영비가 시설의 규모 및 처리방법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운영비의 합리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시설의 설치와 운영에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처리 규모의 계획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