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of Interleukin 10 in Bell's Palsy Patients by Pyrosequencing

구안와사 환자에서의 Interleukin 10 단일염기다형성 연구-Pyrosequencing

  • Seo, Jung-chul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Lim, Seong-chul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Jung, Tae-young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 Shin, Dong-hoon (Dep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 Kim, Min-jung (The Research Center for Bimredical Resources of Oriental Medicine) ;
  • Han, Sang-won (Dept. of Acupuncture & Moxibustion,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gu Haany University)
  • 서정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임성철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정태영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 신동훈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민정 (한방생명자원연구센터) ;
  • 한상원 (대구한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Received : 2004.03.08
  • Accepted : 2004.03.23
  • Published : 2004.04.20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Interleukin 10 (IL10) 유전자 다형성이 구안와사의 발병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 대구한의대학교부속 한방병원에 내원한 구안와사 환자 62명과 종합건진센터에 내원한 구안와사 기왕력이 없는 건강인 10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 : 각 그룹에서 개개인마다 DNA를 분리 정제한 후 Taq polymerase로 증폭하여 한천 겔에서 전기영동을 하여 PCR 산물을 확인하였다. PCR 산물은 Pyrosequendng 과정을 통하여 IL10의 유전형이 자동으로 판정되었다. 결과 : A/A, A/C의 두가지 유전자형이 검출되었으며 구안와사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발견되지는 않았다(p=0.052). 또한 개별 allele 빈도에 있어서도 구안와사군과 건강인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064). 결론 :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IL10 유전자 다형성은 구안와사의 발병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그러나 더 많은 구안와사 환자를 대상으로 IL10 유전자와의 연관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