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n Job Analysis Utilizing Cluster Analysis and Community Analysis

군집분석 및 커뮤니티 분석 기법을 활용한 직무분석 사례 연구

  • Received : 2003.12.12
  • Accepted : 2004.01.16
  • Published : 2004.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Community Analysis of Social Network Analyses family in job-task analysis for curriculum design. These two multivariate analysis techniques were expected to bring us relevant and scientific information as well as inspiration in investigating the structure and nature of job system, which are critical in developing relevant curriculum. To pursue the purpose mentioned abov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S" Corporate, a major large high-tech manufacturing company, and analyzed by relevant analytic procedure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discrepancies between formal job structures and actual ones. Following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center-marginal structure along with clustering structure in the current job formation.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ovided in light of past research and additional data collected from the study.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군집 분석(Cluster Analysis) 및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의 일종인 커뮤니티(Community)기법을 활용한 직무 분석 사례를 소개하고 그 결과를 음미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기존에 활용되던 직무분석 기법을 보완할 수 있는 계량적 방법론을 구안해냄으로써 궁극적으로 역량기반 커리큘럼의 개발 및 교수체제 설계 시 보다 분석적, 과학적인 준거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직무분석 자료는 국내 대규모 제조업체인 S사에서 인터뷰 및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다. 이 자료를 활용하여 실시된 군집 분석의 결과 직무들 간의 유사성에 대한 군집 분석 결과는 공식적인 직무 분류체계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이는 조사된 모든 측면에서 일관되게 확인되었으며, 각 측면별로 다소 상이한 클러스터링 패턴을 보이고 있었다. 군집 분석에 이어 직무들 간의 상호 연결관계 네트워크에 대한 사회연결망분석이 실시되었는데, 그 결과 명확한 중심-주변 구조와 함께 클러스터링 구조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공식적인 직무분류체계에서 예상할 수 있는 것과도 다르고 또한 직무 간 내용적 유사성 구조와도 차이가 있는 독특한 패턴을 보이고 있음을 보이고 있는 결과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직무분석을 위한 새로운 분석 알고리즘으로서 군질 분석 및 커뮤니티 분석 기법의 유용성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향후 교육체계 설계를 위해 선행되는 직무분석 시 유의할 점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