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계 고교생의 컴퓨터 중독과 일탈행동 실태 연구

A Study of Computer Toxicosis and Deviant Behavior i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최낙관 (공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정종인 (공주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투고 : 2003.12.04
  • 심사 : 2004.05.05
  • 발행 : 2004.05.31

초록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정보화로 인한 역기능이 새로운 사회적인 문제로 등장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청소년들의 컴퓨터 중독이다. 이러한 중독증을 측정하기 위해 Kimberly S. Young이 개발한 검사지를 많이 사용하는 바, 본 연구에서는 그와 병행하여 한국정보문화진흥원이 개발한 한국형 인터넷중독검사(K-척도)를 사용하고 그 결과를 기준으로 연구하였다. K-척도의 진단기준에 따라서 분류한 결과 일반사용자 534명(64.8%), 잠재적위험 사용자 229명(27.8%), 고위험 사용자 61명(7.4%)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들 고위험 사용자들의 컴퓨터 중독의 충분조건과 필요조건(표출행동)에 대하여 연구했고 이들을 예방하기위한 지도 방향을 탐색해 본다.

Social problems are coming to light due to the dysfunction which is caused by the improvement of ICT and the increasing information with computers and one of these problems is teenagers' computer toxicosis. In order to measure such an toxicosis, test paper that is developed by Kimberly S. Young is typically used. In this study, along with the test paper, localized Korean Internet addiction test (K-index) was used and the study was also made on the basis of such result. With results of sorting the data on the basis of K-index diagnosis criteria, it showed general users were 534 (64.8%), with potential risk users were 229 (27.8%) and high risk users were 61 (7.4%). This study was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sufficient and essential conditions ( outer behaviors ) of computer toxicosis for high risk users and searching for preventive measures for the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