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ST Survey: Fentanyl-TTS is Rational Solution to Treat Cancer Pain and Pain Assessment as a $5^{th}$ Vital Sign in Korean Cancer Patients

암성통증: 제5의 활력징후인 통증의 강도 측정 및 펜타닐 패취(듀로제식$^{(R)}$)의 통증 조절 효과

  • Choi, Youn-Seo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June-You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Yeun-K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wangju Christian Hospital) ;
  • Kim, Chul-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h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ong, Hong-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Sam-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College) ;
  • Kim, Su-Hyun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un-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최윤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
  • 이준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 ;
  • 임연근 (광주기독병원 내과) ;
  • 김철수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
  • 송홍석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
  • 김삼용 (충남대학교병원 내과) ;
  • 김수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
  • 김준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내과)
  • Published : 2004.12.04

Abstract

Purpose: Pain management is often needlessly suboptimal. Health care professionals are seldom trained in pain management, may not realize the importance of pain management or recognize that a patient is in pain, and may fear prescribing opioid medications. Noting that one of the problems related to health care professionals is poor assessment of pain, we studied a trend of pain severity and satisfaction with pain controls after using TTS-fentanyl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regular pain assessment was effective for controlling cancer pain. Methods: We assessed the pain as a $5^{th}$ vital sign after using TTS-fentanyl in 471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during 4 day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03 to December, 2003. Pain severity was assessed by using a numeric pain intensity scale($0{\sim}10$) by ongoing pain assessment. Results: Pain assessment as a $5^{th}$ vital sign had led to reduce patient's pain scores. High degrees of satisfaction scores in both patients and doctors with TTS-fentanyl were observed. They were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pain severity. Conclusion: Regular pain assessment was effective in the management of cancer pain.

목적: 통증조절 실패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부적절한 통증 평가이다.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암성통증의 평가가 효과적인 통증조절에 도움이 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9월에서 12월 사이 전국 25개 병원에 입원하여 듀로제식$^{(R)}$을 처음 사용한 암환자를 대상으로4일간 통증을 제5의 활력징후로 평가하였다. 평가기간 동안의 일 평균 통증 강도 및 진통제 사용량, 돌발성 통증에 사용한 구제 진통제의 용량 및 투여 횟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분석대상자는 471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57.2세, 남자가 59.1%이었다. 연구시작 전 대상자의 평균 통증강도는 6.0점이었고 78.6%가 진통제를 사용하고있었다. 듀로제식$^{(R)}$을 붙인 후 통증을 활력징후로 측정하였는데, 4일째 일 평균 통증강도는 2.9점으로 감소하였다(P<0001). 활력징후 측정 횟수가 많을 수록 4일간의 일 평균 통증강도가 감소하였다(r=-0.143, P=0.0018). 일 평균 듀로제식$^{(R)}$의 사용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4). 구제 진통제의 사용량과 횟수는 시간에 따라 감소하였다. 의사65.7%, 환자 58.1%가 듀로제식$^{(R)}$ 사용 후 만족한다고 답하였다. 결론: 암성 통증을 제5의 활력징후로 측정하였을 때 보다 효과적으로 통증조절이 이루어졌다. 듀로제식$^{(R)}$ 또한 암성 통증의 조절에 효과적이며, 안전한 약제이나 처음 사용 시에는 신중한 용량적정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