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의 성분조성과 납동위원소비

  • Kang, Hyungtae (Conservation Science Lab.,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 Kim, Jongoh (Conservation Science Lab.,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 Kwon, Hyuknam (Conservation Science Lab.,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 Yu, Heisun (Conservation Science Lab.,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강형태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 김종오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 권혁남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 유혜선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was completed in 771 A.D. It is a true masterpiece both grand in its size and style (height 3.66 m, diameter 2.23 m, thickness 20.3 cm, weight 18.9 ton), illustrating the essence of the Korean bronze culture. However, there are no remaining records about its casting: where the raw material came from, how the materials were mixed and how the bell was casted. The absence of such records has limited the understanding of the bell. This article contains analysis of three samples collected from a protruding part inside of the bell during a safety test for the bell by the Gyeongju National Museum. The main issues are the element composition of the bell, microstructure on the casting time and the source where the raw material came from.

성덕대왕신종은 서기 771년에 완성되었으며 규모에 있어서나 예술적인 수준에 있어서 탁월한 걸작품으로서 우리 청동문화의 정수이다. 그러나 성덕대왕신종을 주조하기 위해 어디에서 원료를 입수하여 어떻게 배합하고 주조했는지에 대한 사료가 남아있지 않아 성덕대왕신종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성덕대왕신종에 대한 안전진단의 일환으로 점검 과정 중 신종 내부에 돌출된 부분에서 채취한 시료 3점의 분석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성덕대왕신종을 제작하기 위한 원료의 배합비, 주조 당시의 금속조직, 원료의 산지 등에 중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Keywords

Cited by

  1. 성덕대왕신종의 3차원 디지털 기록화 의미와 모니터링 기초자료 구축 vol.24, pp.None, 2004, https://doi.org/10.22790/conservation.2020.24.0055
  2. A study on archaeological production sites of South Korean bronze bells through slag and soil analysis vol.14, pp.1, 2004, https://doi.org/10.1007/s12520-021-014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