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yurin Method and Dry Combustion Method for Carbon Analysis in Soils of Low Iorganic Carbon content

무기탄소 함량이 낮은 토양의 탄소함량 분석을 위한 Tyurin법과 건식연소법의 비교

  • Seo, Myung-Chul (Department of Soil Management, National Isti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So, Kyu-Ho (Department of Soil Management, National Isti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Ko, Byong-Gu (Department of Soil Management, National Isti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 Son, Yeon-Kyu (Department of Soil Management, National Isti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 서명철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
  • 소규호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
  • 고병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
  • 손연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환경부)
  • Received : 2004.07.19
  • Accepted : 2004.09.09
  • Published : 2004.10.30

Abstract

To compare soil carbon contents by Tyurin method and dry combustion method, we carried out analysis for 212 samples of agricultural land in Korea. The average values of soil carbon contents analyzed by Tyurin method and dry combustion method were $17.47{\pm}10.80$ and $19.91{\pm}10.63g\;kg^{-1}$, respectively. Both methods were evaluated as acceptable methods for soil carbon contents as the results showed. The results showed that soil texture had little effect on analysis method of carbon contents. Highly significant linear regression equation, Y = 0.846X ($R^2=0.991$), was obtained between carbon contents analyzed by Tyurin method (Y) and dry combustion method (X).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data of carbon contents of the two methods, about 69% of results at dry combustion method have exceeded to results at Tyurin method. Especially, differences between results at two methods became higher as carbon contents were increasing. Tyurin method has been advantages such as shorter analysis time for one sample, more recognition for carbon analysis, and no need for expensive analyzer, while dry combustion method has simpler procedure, no heavy metal wastes, and more samples for analysis at one time.

토양 내 유기물 덴 탄소 함량 분석을 위한 Tyurin법과 건식 연소법을 비교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논과밭 토양에서 212점의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시 토양의 탄소함량 평균값은 Tyurin법과 건식연소법에서 각각 17.47과 $19.91g\;kg^{-1}$을 나타내었다. 또한, 토양시료들의 표준편차의 평균값은Tyurin법과 건식연소법이 각각 0.80과 0.63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두 분석방법 모두토양 탄소를 분석하는데 있어 좋은 분석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토성에 따른 토양시료의 탄소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토성에 따른 탄소분석에서의 커다란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두 가지 분석방법으로 분석된 결과 값들을 비교하기 위하여 직선회귀식을 구한 결과 Y = 0.046X로 전체적으로 건식연소법 축으로 기울어지는 회귀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결정계수 $R^2$도 0.991로 매우 높은 유의성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Tyurin법과 건식연소법으로 분석된 토양 탄소함량을 직접 비교한 결과 건식연소법으로 분석한 결과 값의 약 69%가 높게 나왔으며 탄소함량이 증가할수록 건식연소법에서 분석하였을 때의 결과 값이 Tyurin법에 비해 높게 분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yurin법과 건식연소법으로 분석된 탄소함량에 대한 표준편차를 비교한 결과 토양의 탄소함량이 낮을 경우의 표준편차의 분포가 표준편차의 전체 평균값 두 방법 모두 아래쪽에 분포한 반면 탄소함량이 증가할 경우 편차의 변이가 증가하였다 특히, Tyurin법의 경우 낮은 함량에서도 일부 편차가 큰 값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분석과정에서의 숙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Tyurin법과 건식연소법의 분석과정을 비교해보면 1회에 통시에 분석할 수 있는 시료의 수는 Tyurin법에서는 20개 이하, 건식연소법에서는 60개 이하로 파악되었으며 소요되는 시약의 수도 Tyurin법은 5개인 반면 건식연소법은 6개에 불과하다. 그러나 한 개의 시료를 분석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시간은 Tyurin법의 경우 2.5분 이하로 건식연소법의 4분 이하보다는 적게 소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llison, L. E. 1960. Wet-combustion apparatus and procedure for organic and inorganic carbon in soil. Soil. Sci. Soc. Am. Proc. 24:36-40 https://doi.org/10.2136/sssaj1960.03615995002400010018x
  2. Ben-Dor, E., and A. Banin. 1989. Determination of organic matter content in arid-zone soils using a simple "loss-on-ignition" method. Commun. Soil Sci. Plant Anal. 20:1675-1695 https://doi.org/10.1080/00103628909368175
  3. Gee, G. W., and J. W. Bauder. 1986. Particle-size analysis. p. 383-411. In A. Klute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1. Physical and mineralogical methods. ASA and SSSA, Madison, WI, USA
  4. Geiger, P. J., and J. p. Hardy. 1971. Measurement of organic carbon in arid soils using a hydrogen-flame ionization detector. Soli. Sci. 111:175-181 https://doi.org/10.1097/00010694-197103000-00005
  5. Doran, J. W., and T. B. Parkin. 1996. Quantitative indicators of soil quality : A minimum data set. p. 25-37. In J. W. Doran et al. (ed.) Methods for assessing soil quality. ASA and SSSA, Madison, WI, USA
  6. Kononova, M. M. 1966 1. Soil organic matter; Its nature, its role in soil formation and in soil fertility. p. 45-49. Pergamon Press Ltd., Oxford, NY, USA
  7. Nelson D. W., and L. E. Sommer. 1996. Total carbon, organic carbon, and organic matter. p. 961-1010. In D. L. Sparks et al. (ed.)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3. Chemical methods. ASA and SSSA, Madison, WI, USA
  8. RDA. 1997.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composts for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Standard practice manual 89. p. 85-9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9. Schollenberger, C. J. 1927. A rapid approximate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Soil Sci. 24:65-68 https://doi.org/10.1097/00010694-192707000-00008
  10. Walkley, A., and I. A. Black. 1934. An examination of Degtjareff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and a proposed modification of the chromic acid titration method. Soil Sci. 7:393-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