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Water Resource viewed from Hydrogeological Viewpoint

지구과학자 입장에서 본 산림수자원의 특성과 관리

  • Kim, Yeonghwa (Department of Geophysic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i, Jung-Kee (Division of Forest Management, Landscape Architecture,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영화 (강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물리학과) ;
  • 최정기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산림경영.조경학부)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Some effective management schemes have been drawn up by reviewing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forest in the viewpoint of groundwater. It is desirable for us to seek an model combined with existing green dam and under dam. Another model combined with under dam and divergent dam is also considered to be necessary depending on its geology. These can be an effective means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large dam is not easy to be constructed in spite of growing demand of securing additional water resources.

지하수 측면에서 숲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효과적인 수자원의 관리방안을 모색하였다. 일반적으로 널리 인식되고 있는 기존의 녹색자연댐 개념에 지층저류기능이 강화된 지하댐 기능을 접합한 모텔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질조건에 따라 지하댐과 유역변경식댐 기능이 접합된 모델도 필요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자연댐은 대형 인공댐 축조가 어려워지고 수자원 추가확보에 대한 요구는 크게 증대하는 현실에서 찾을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