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rology of Charnockite in Sancheong Area

산청지역에 분포하는 챠노카이트의 암석학적 연구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The Charnockite in Sancheong region is quarzofeldspathic rock containing orthopyroxene and garnet with a color dark than common granitic rocks. The Chamockite are mostly massive and medium to coarse-grained with K-feldspar phenocryst, but reveal weak foliation. The rock consist mainly of quartz, K-feldspar, plagioclase and orhopyroxene, with biotite, garnet, and anthophyllite. In petrochemistry, the Chamockite has 61-65% $SiO_2$ contents, varying gradually into the margin contacted with orthogneiss, which have compositions of felsic igneous rocks. Major element show almost systematical variation with those of the marginal orthogneisses, except the hornblende gneiss and anorthosite. The Charnockite and orthogneisses show the tholeiitic differentiational trend. Trace and rare earth element abundance patterns in the Charnockite show remarkable negative Sr and Eu anomalies similar to orthogneisses, but different from the hornblende gneiss and anorthosite. Eu contents of the Charnockite are richer than that of orthogneisses. The metamorphic condition of the Charnockite were tested by an orthopyroxene-garnet geotherrnorneter and a plagioclase-garnet geobarometer. Estimated P-T conditions are about $761^{\circ}C$ and 7 kbar at peak metamorphism, but $653^{\circ}C$ and 6.4 kbar at retrograde metamorphism. This suggests that the Charnockite have from an early stage of high-grade metamorphism to represent the granulite facies and then to a late stage medium-grade metamorphism belonging to the amphibolite facies.

연구지역의 차노카이트는 일반 화강암질암에 비해 암색을 띠고 사방휘석과 석류석을 함유하는 석영장석질암이다. 일부 지역에서 엽리가 발달하나 대체로 미약한 편이며 산상의 특징, 구성광물의 종류와 암석의 변형 정도 등에 의해 암상의 변화를 보인다. 주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K-장석, 사방휘석이며, 흑운모, 석류석, 앤쏘필라이트 등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암석화힉적 분석 결과, $SiO_2$의 함량이 61${\sim}$65%에 해당되었으며, 주위의 규장질 화성암 조성의 편마암류들과 연속적인 변화 경향성을 보인다. 주성분 산화물들의 변화 경향을 살펴본 결과, 각섬석 편마암, 회장질암을 제외한 주위의 편마암류들과 거의 동일한 체계성을 보였다. 차노카이트의 변성조건을 고찰하기 위하여 사방휘석-석류석 지온계와 사장석-석류석 지압계를 적용해 본 결과 석류석의 중심부의 경우 $761^{\circ}C$내외의 온도와 약 7 kbar의 압력 조건, 주변부의 경우 $653^{\circ}C$내외의 온도와 약 6.4 kbar의 압력조건을 지시하였다. 이는 차노카이트가 초기의 고변성작용을 받은 후 보다 후기의 저 변성작용에 의해 재평형이 이루졌음을 암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연, 1999, 지리산 동부지역에 분포하는 챠노카이트의 암석학, 지구화학 및 지구연대학.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9P
  2. 김옥준, 홍만섭,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윤선, 1964, 산청 지질도폭(1:50.000)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2P
  3. 김옥준, 홍만섭, 윤석규, 박희인, 박양대, 김기태, 이하영, 윤 선, 1964, 운봉 지질도폭(1:50,000) 및 설명서. 국립 지질조사소, 19P
  4. 이상만, 1980, 지리산(하동-산청) 지역의 변성니질암의 번성 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6(1), 79P
  5. 이상만, 나기창, 이상헌, 박배영, 이상원, 1981, 소백산 육괴(동남부)의 변성암 복합체에 대한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7 (3), 169-188
  6. 이상원, 1984a, 소백산 육괴 서남부(구례-곡성-남원)의 편마암 복합체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대논문집, 8, 285-303
  7. 이상원, 1984b, 지리산지역 편마암류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대논문집, 10, 229-255
  8. 이상원, 1985, 소백산 육괴 서남부의 편마암 복합체의 변성작용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대 논문집, 10, 229-225
  9. 이상원, 1997, 소백산육괴 서남부의 변성암 복합체에 대한 광역변성작용과 동위원소연대에 관한 연구. 눌원문화재단, 학술연구지워 연구보고서, 46p
  10. 최유구, 정창희, 이대성, 김서운, 김수진, 1964, 단성 지질도폭(1:50,000)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8p
  11. Cox, K.G., Bell, J.D. and Pankhurst, R.I. 1979, The interpretation of igneous rocks and associations. Transactions Royal Society of Edinburgh, Earth Science, 73, 135-149
  12. Demaiffe, D. and Hertogen, J., 1981, Rare earth element geochmistry and strontium isotopic composition of a massif-type anorthositic- charnockitic body: the Hidra massif (Rogaland, SW Norway).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5, 1545-1561 https://doi.org/10.1016/0016-7037(81)90284-2
  13. Ghent, E.D., 1976, Pagioclase-gamet-$Al_2SiO_5$-quartz: a potential geobarometer-geothermometer. American Mineralogist, 61, 710-714
  14. Holland, T.H., 1893, The petrology of Job Charnock's tombstone. Journal of Asiatic Society of Bengal, 62, 162-164
  15. Newton, R. C., 1992, An overview of charnockite. Precambrian Research, 55, 399-405 https://doi.org/10.1016/0301-9268(92)90036-N
  16. O'Connor, J.T., 1965, A classification for quartz-rich igneous rocks based on feldspar ratio.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528B, 79-84
  17. Pichamuthu, C.S., 1969, Nomenclature of charnockites. Indian Mineralogy, 10, 23-25
  18. Ridley, J., 1992, On the origins and tectonic significance of the charnockite suite of the Archaean Limpopo Belt, northern marginal zone, Zimbabwe. Precambrian Research, 55, 407-427 https://doi.org/10.1016/0301-9268(92)90037-O
  19. Sen, S.K and Bhattacharya, A., 1984, An orthopyroxenegarnet thermometer and its application to the Madras chrnockites.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88, 64-71 https://doi.org/10.1007/BF00371412
  20.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 of oceanic basalts: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es in magmatism in the ocean basins. Geological Society, Special Publication, 42, 313-345 https://doi.org/10.1144/GSL.SP.1989.04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