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ction of Ganglion Cyst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using Arthroscopic Posterior Trans-septal Approach

관절경하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의 치료

  • Nam, Il-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Yoo, Yon-Si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Yun, Ki-Pyo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 Ahn, Gil-Ye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Pohang St. Mary's Hospital)
  • 남일현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유연식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윤기표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안길영 (포항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Purpose: We reviewed the effectiveness and the result of arthroscopic resection for ganglion cyst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PCL) through the posterior trans-septal approach. Material and Method: Seven patients with symptomatic ganglion cyst of the PCL were treated with arthroscopic resection using posterior trans-septal approach. We analyzed advantages of the posterior trans-septal approach and presence of intra articular problem. Knee function was assessed using the lysholm knee scale. Results: The overall result for the 7 knees were very satisfied in all. We found that four of seven patients had intra articular problems, and past history of trauma could be found in 3 cases. The Lysholm knee scale was increased from average 93.3 points preoperatively to average 97.8 points postoperatively. Conclusion: Arthroscopic posterior trans-septal approach shows an effective technique for complete resection of cyst and evaluation of the combined posterior compartment injury.

목적: 관절경하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이용한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의 제거술시 전방 도달법 보다 우수한 접근성 및 제거의 용이성과 그 치료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의 관절경하 후격막 통과 도달법을 이용하여 제거술을 시행한 7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증상을 동반한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에서 동반손상 유무, 전방 접근법과 후격막 통과 도달법의 수술시야의 차이 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고, 결과의 평가는 Lysholm 슬관절 지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증상이 동반된 7예의 후방십자인대 결절종 중 4예에서 동반 손상이 있었으며, 또한 외상과 연관된 경우도 3예이었다 임상평가 결과, Lvsholm 슬관절 지수는 술 전 평균 93.3점에서 술 후 평균 97.8점으로 향상을 보였다. 결론: 후방십자인대 결절종의 관절경적 제거술시 수술시야의 확보 및 후방구조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격막 통과 도달법이 효과적인 술식이라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