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ny Contusion of the Knees with Isolated Traumatic Meniscal Tears

외상성 반월상 연골 단독 손상에서 골타박

  • Kim, Kyung-Chul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Ho-Ji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oo, Bon-Seop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김경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이호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구본섭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Purpose: We studied the incidence rate and patterns of bony contusions of the knees with isolated traumatic meniscal tears.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retrospectively MRI scans and medical records of forty-two patients(42 knees) which had undergone operations for isolated traumatic meniscal tears. Mean age, 33.7 year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lateral, medial or both meniscal tears were 19, 18 and 5, respectively. Bony contusions were examined according to incidence, Location, and in relation to the types of meniscal tears. Results: Bony contusion was identified in 5 cases (11.9%) which had medial meniscal tear (4 cases0 or both meniscal tear (1 case). It was always located on the medial compartment of the joint. Bony contusion was found in the knee with various type of traumatic meniscal tears. Conclusion: Bony contusions in thd knees with isolated traumatic meniscal tear have very low incidence and they seem to disappear at or less than 12 months after the trauma. The bony contusions are mainly related to medial meniscal tear and located in the medial compartment of the joint.

목적: 외상성 반월상 연골 단독 손상을 가진 슬관절에서 골타박의 발생 빈도와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외상성 반월상 연골 단독 파열로 진단 및 수술을 받은 42명 환자(42례 슬관절)의 자기공명영상(MRI)과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평균 연령이 33.7세, 외측 또는 내측 반월상 연골 파열이 각각 19례,18례 그리고 양측 파열이 5례였다. 골타박의 발생 빈도와 위치, 골타박과 반월상 연골 파열 형태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타박은 5례(11.9%)에서 발견되었다. 골타박은 관절의 내측 구획 중간에 위치하였으며 내측(4례) 또는 양측(I례) 반월상 연골 파열을 가진 슬관절에서 발생하였고 다양한 파열 형태에서 골타박이 관찰 되었다. 결론: 외상성 반월상 연골 단독 파열에서 골타박은 발생 빈도가 매우 낮으며 수상일로부터 12개월 이내에 소실되는 것으로 보인다. 골타박은 내측 반월상 연골 손상과 연관되어 있으며 슬관절의 내측 구획에 발생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