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ervices and Store Loyalty

종업원 서비스와 점포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윤성욱 (동아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 서근하 (부.울 중기청/ 경남정보대학 경영정보계열 )
  • Received : 2004.02.26
  • Accepted : 2004.09.22
  • Published : 2004.10.31

Abstract

Store loyalty is increasingly being recognized as a path to long-term business profitability. Customer contact employees deliver a service firm's promises and create an important image for the firm. A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ustomer service and product value on store loyalty. In order to test research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dministered to 300 apparel store customers. Two hundred thirty nine usable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employee's voluntary service(EVS) has a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 elationship, which then affects switching barrier and store loyalty. Second, a employee's regular service(ERS) has an influence on store satisfaction, which in turn affect store loyalty. Third, product value is shown to be a significant antecedent to store satisfaction, which have a direct effect on store loyalty. The study concludes with implications,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uld be beneficial to marketing practitioners and retailing businessmen in developing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오늘날 서비스 마케팅은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 종업원 서비스와 점포 충성도는 점포와 고객이 장기간 비즈니스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경로이며, 기업 이미지와 해당 점포의 수준을 결정짓게 하는 척도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업원 서비스가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결정요인들의 구조적인 분석에 관하여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LISREL 8.30을 사용하여 구성개념간의 공분산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종업원의 자발적 서비스는 개인간 관계와 전환장벽을 통하여 점포 충성도를 유발시키는 유의한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자발적 서비스는 점포 만족 및 점포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전환장벽을 결정하는 요소에 점포만족이 유의하지 않고, 개인간 관계만이 전환장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흥미로운 사실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종업원에 대한 지도관리 및 평가시에는 현재 종업원의 매출실적 및 계량적 평가방식에서 행위적 실적평가(behavioral performance evaluation)로 확대 개선 할 필요성을 제시하여 주고 있으며, 현재 소매업체의 실태를 감안할 때 향후 정부 및 중소기업지원 유관기관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서 그 의미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03학년도 동아대학교 학술연구비(공모과제)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본 논문을 위하여 유익한 조언을 하여주신 익명의 두 분 심사자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