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Studie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Vl. The Statistical Analysis of Eutrophication Factors

한강 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l. 부영양 요인의 통계적 해석

  • Jung, Seung-Won (Division of Natural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angmyung University) ;
  • Hue, Hoi-Kwon (Korea Ocean Engineering & Consultants Co., Ltd., Ocean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
  • Lee, Jin-Hwan (Division of Natural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Sangmyung University)
  • 정승원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
  • 허회권 (한국해양기술 부설 해양연구소) ;
  • 이진환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자연과학부)
  • Published : 2004.03.31

Abstract

In order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eutrophication, the present study was biweekly conducted at G stations in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during the period from Feb. 24,2001 to Feb. 9,2002. Water temperature was changed from $0.5^{\circ}C$ to $26.4^{\circ}C$, pH was 5.77${\sim}$8.99, DO 3.15${\sim}$14,36 mg $L^{-1}$, BOD 0.90${\sim}$7.45 mg $L^{-1}$, and COD 1.16${\sim}$9.13 mg $L^{-1}$. TN and TP were ranged from 1.68${\sim}$20.96 mg $L^{-1}$, and 0.02 ${\sim}$ 1.17 mg $L^{-1}$, respectively. $NH_4\;^+$-N, $NO_3\;^-$-N, and $PO_4\;^{3-}$-P were ranged from 0.56${\sim}$3.60 mg $L^{-1}$, 0.03${\sim}$7.29 mg $L^{-1}$, and 0.002${\sim}$0.754 mg $L^{-1}$. Chlorophyll- a was extensively changed from 2.29 ${\mu}g\;L^{-1}$ to 136.28 ${\mu}g\;L^{-1}$ by month and stations. Results of nutrients indicated the eutrophic level in this area and water quality was the gradual worsening in the lower stations than those of upper stations during the period studied.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 a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dicated that BOD, COD, pH, $NH_4\;^+$-N, TP, TN, conductivity and $PO_4\;^{3-}$-P were positive correlation, but $NO_3\;^-$-N was negative. The environmental factors investigated using the principal component method could be triparted. The first factor group included conductivity, BOD, COD, TN, TP, $NH_4\;^+$-N, $PO_4\;^{3-}$-P and SS, the second WT and DO, and the third pH and $NO_3\;^-$-N. Using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chlorophyll- a was under the influence of conductivity, $PO_4\;^{3-}$-P, $>NO_3\;^-$-N and $NH_4\;^+$-N Chlorophyll-a = 0.3661 ${\times}$ (Conductivity) - 0.3592 ${\times}$ ($PO_4\;^{3-}$-P) - 0.3449 ${\times}$ ($NO_3\;^-$-N)+0.4362 ${\times}$ ($NH_4\;^+$-N.

본 연구는 한강하류의 부영양화에 미치는 환경요인과 chlorophyll-a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2월 24일부터 2002년 2월 9일까지 격주로 시료를 분석하였다. 수온은 $0.5^{\circ}C$에서 $26.4^{\circ}C$로 전형적인 온대성 기후를 나타내었고, pH는 약산성에서 약알칼리성을 보였다. TN과 TP의 농도 범위는 각각 1.68${\sim}$20.96 mg $L^{-1}$, 0.02${\sim}$1.17 mg $L^{-1}$이었고, TN/TP 비는 22.46로 상대적으로 높은 질소원을 보였다. Chlorophyll-a 는 2.3${\sim}$136.3 ${\mu}g\;L^{-1}$로 계절별 변이가 컸으며, 이를 물리 ${\cdot}$ 화학적 환경요인과 상관분석을 한 결과, 정의 상관계수를 나타내는 요인은 BOD. COD. pH. $NH_4\;^+$-N, TP. TN. 전기전도, $PO_4\;^{3-}$-P등의 순서였고, 부의 상관관계는 $NO_3\;^-$-N으로 나타났다. 한편 환경요인의 요인분석 결과, 제1요인은 "영양염류 요인"으로 전기전도도, BOD, COD, 부유물질, TN, TP, $NH_4\;^+$-N, $PO_4\;^{3-}$-P로 구분되었고, 제2요인은 "기후변동의 요인"으로 수온과 DO로 나타났으며, 제3요인은 "식물플랑크톤의 물질대사요인"으로 pH와 $NO_3\;^-$-N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의 3가지 요인 중에서 제1요인이 43.08%로 제2요인과 제3요인이 각각 18.84%와 14.28%로 한강하류수역의 수질 특성은 영양염류인자에 따른 영향이 크다고 판단된다. Chlorophyll-a의 농도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단계적 회귀분석 후 표준화한 결과, 결정계수 (Ra)가 0.32로 전기전도도, $PO_4\;^{3-}$-P, $NO_3\;^-$-N,$NH_4\;^+$-N이 chlorophyll-a의 변화에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 1997. 호수의 조류대발생 예측기법에 관한 연구-대청호를 중심으로, 국립환경연구원보 19: 419-429
  2. 김미숙, 정영륜, 서의훈, 송원섭. 2002. 낙동강 부영양화와 수질환경요인의 통계적 분석, 한국조류학회지 17: 105-115
  3. 김범철, 김동섭, 황길순, 최광순, 허우명, 박원규. 1996. 부영양화한 낙동강 수계에서 유기물오염에 대한 조류 1차생산의 기여도, 한국조류학회지 11: 231-237
  4. 김범철, 안태석, 조규송. 1988. 한강수계 인공호의 부영양화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 육수학회지 21: 151-163
  5. 김용재, 김명운, 김상종. 1998. 한강 중.하류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한국조류학회지 13: 331-338
  6. 김용재. 1996. 팔당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고찰과 지표종을 이용한 영양단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29: 323-345
  7. 김정균. 1972. 하계 한강하류의 식물성플랑크톤의 분류와 해수지표성, 한국육수학회지 5: 31-41
  8. 서울시립대학교 수도권개발연구소. 1990. 한강생태계 조사연구 보고서. 서울특별시 586pp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4. 한강 수질 관리의 효율화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시정연 94-R-18. 640pp
  10. 신재기. 1998. 낙동강 부영양화에 따른 담수조류의 생태학적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pp
  11. 심재형, 최중기. 1978. 한강하류에 있어서 부유성 조류군집의 구조 및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3: 31-41
  12. 유광일, 임병진. 1990. 한강 하류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오염지표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3: 267-277
  13. 이진애. 1999. 낙동강 수계의 남조류 군집 특성, 부산시수질개선대책 세미나. pp.17-30
  14. 이진환, 장만. 1997.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II. 식물플랑크톤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0: 193-202
  15. 이학동. 1977. 한강수의 오염도에 따른 호수생물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10: 47-51
  16. 장주형. 1999. 다변량 해석에 의한 낙동강 하구해역 수질특성의 평가,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pp
  17. 정승원, 이진환, 유종수. 2003. 한강하류의 환경학적 연구 V.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대발생 특징, 한국조류학회지 18: 255-262
  18. 정영호, 심재형, 이민재. 1965.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구.제1보: 한강하류의 식물성 plankton과 해수의 영향, 한국식물학회지 8: 7-29
  19. 정영호. 1969. 한강의 Microflora에 관한 연구. 제3보: 한강하구 감조수역의 환경조 건과 식물성 plankton, 학술원 논문집 8: 59-130
  20. 정영호, 심재형. 1969. 한강하구의 기수역 유형에 관한 연구,한국식물학회지 12: 35-42
  21. 한명수, 어윤열, 유지근, 유광일, 최영길. 1995.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2. 식물플랑 크톤의 군집 구조의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8: 335-344
  22. 한명수, 유재근, 유광일, 공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수질의 연변화: 과거와 현재, 한국육수학회지 26: 141-149
  23. APHA, AWWA, WPCF. 1995.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PHA, Washington D.C., 1100pp
  24. Forsberg, C. and S.O.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189-207
  25. Heinle, D.R. 1969. Effects of elevated temperature on zoo-plankton. Chesapeake Sci. 10: 186-209
  26. Horne, A.J. and C.R. Goldman. 1994. Limnology. McGraw-Hill, Inc., New York, 576pp
  27. Jeffries, M. and D. Mills. 1995. Freshwater ec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285pp
  28. Lee, K. and S.K. Yoon. 1994. Morphologic accounts of the diatom genus Aulacoseira, the dominant of the Han River. Korean J. Phycol. 9: 135-143
  29. UNESCO/SCOR. 1966.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seawater. Paris. Unesco (ed)., pp.10-18
  30. USEPA. 1976. Water quality criteria research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roceeding of an EPA Sponsored Symposium, EPA-600 (3-76-079), 185pp
  31. Welch, E.B. and T. Lindell. 1992. Ecological effects of waste water. 2nd ed. Champman & Hall, London, 337pp
  32. Yang, J.R. and M. Dickman. 1993. Diatoms as indicators of lake trophic status in central Ontario, Canada. Diatom Research 8: 17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