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정시안에 있어서 연령별 각막전면곡률반경의 변화와 분포를 파악하는데 있다. 나안시력이 0.6-1.0 이상을 보이고, 굴절이상도가 등가구면 굴절력 ${\pm}0.75$ Diopter 이하면 3-83세 사이 504명의 정시안을 대상으로 Keratometer를 아용하여 연령에 따른 각막전면곡률반경의 분포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각 개인별 분포 변화를 분석한 결과, 첫째, 연령에 따라 선형상관관계식 Y = 0.003x + 7.796(r = -0.26)이 얻어졌고, 평균나이 38.3세에 평균 곡률반경은 $7.68{\pm}0.25mm$이었으며, 전체 대상의 분포 범위는 최소 6.98 mm에서 최대 8.54 mm의 결과를 보였다. 둘째, 각막전면곡률반경의 빈도는 7.61 - 7.80 mm가 36%, 7.41 - 8.00 mm가 78%, 7.21 - 8.20 mm가 96%로 나타났다. 셋째, 남 여 성별에 따른 비교에서 남자 (n = 304, 평균 37.6세, $7.72{\pm}0.24mm$, 범위 7.09 - 8.54 mm)는 여자 (n = 200, 평균 39.3세, $7.62{\pm}0.24mm$, 범위: 6.98 - 8.41 mm) 보다 평균 0.1mm 만큼 크게 나타났다. 또한, 그룹별 평균값의 변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연령에 따른 관계식은 $Y=-0.0066x^2+0.0227x+7.7282$, 선형 상판계수는 r = -0.90로 나타나 개인별 분석에서의 r = -0.26 보다 큰 수치를 보였다. 둘째, 수직곡률반경과 수평곡률반경은 연령에 따라 모두 감소하였으며, 특히, 수직보다는 수평 곡률반경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p < 0.01). 셋째, 강주경선과 약주경선의 차이는 저연령군 0.18 mm에서 고연령군 0.08 mm로 나타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차이가 좁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넷째, 남 여의 비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8개 군 모두에서 크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01). 결론적으로 같은 연령내에서도 개인별 차이가 크지만 연령그룹별 평균값의 변화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강주경선, 약주경선 및 그 평균값, 수직곡률, 수평곡률 그리고 남자, 여자 모두에게서 각막전면곡률반경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수직곡률보다 수평곡률의 감소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발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and change of curvature of the anterior corneal surface with age in emmetropia. 504 subjects who have emmetroia with good naked vision of at least 0.6-1.0 (spherical equivalent: +0.75D- -0.75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504 subjects into 8 groups with 10 year interval from 3-year to 83-year, and their corneal curvatures were analyzed using manual keratome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individual analysis: First, regression analysis of corneal curvature radius with age has given an equation: Y = -0.003x + 7.796 (r = -0.26). The average corneal curvature radii was measured to be $7.68{\pm}0.25mm$ at 38.3-year and range was 6.98-8.54 mm. Second, frequency of corneal curvature radius were obtained in 36% between 7.61 and 7.80 mm, 78% between 7.41 and 8.00 mm, 96% between 7.21 and 8.20 mm, 100% between 6.98 and 8.54 mm. Third, as for the comparison of corneal curvature radius with respect to sex, The mean value of male (n = 304, mean: 37.6-year $7.72{\pm}0.24mm$, Range: 7.09-8.54 mm) is larger than that of female (n = 200, mean: 39.3-year $7.62{\pm}0.24mm$, Range: 6.98-8.42 mm) by 0.1mm (p<0.01). In groups analysis: First, regression analysis of corneal curvature radius with age has given an equation: $Y=-0.0066x^2+0.0227x+7.7282$ (r = -0.90). Second, vertical and horizontal curvature radius decreased with age (p < 0.01). Especially the decrease of horizontal curvature radius were more pronounced than the decrease of vertical (horizontal:10-70 age group: 0.38 mm decrease, vertical:10-70 age group: 0.20 mm decrease). Third, difference between steep and flat meridian (astigmatism) progressively decreased with age. (low age group:0.18 mm difference, high age group: 0.08 mm difference). Fourth, the corneal curvature radius of male was larger than female's in total groups(p < 0.01). Consequently, the change of corneal curvature radius with age progressively decreased in all conditions (mean, vertical, horizontal, male, and female) and this change was more outstanding in horizontal rather than in vert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