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chanical Properties of Fire-Retardant Treated Wood

내화처리 목재의 기계적 성질

  • Lee, Hyun-Mi (Faculty of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Man (Faculty of Forest Science,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Byeon, Hee-Seop (Faculty of Forest Science,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현미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
  • 김종만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 변희섭 (경상대학교 산림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Received : 2003.12.01
  • Accepted : 2004.07.26
  • Published : 2004.09.25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how simultaneous treatment of monoammonium phosphate (MAP) and boric acid for Pinus densiflora and Populus euramericana influenced the properties such as fire resistance, preservation against Trametes versicolor and Tyromyces palustri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treated woods. For specific gravity and compressive strength, the treated woods were higher than the non-treated ones. For the analytical features observed by SEM, the cell walls of the non-treated woods were extremely destructed by T. palustris and T. versicolor while the treated ones relatively remained intact. Especially, P euramericana was more readily exposed to the attack of the rot fungi than P. densiflora.

국내에서 성장하고 있는 소나무재(Pinus densiflora Sieb. et Zucc)와 이태리포플러재(Populus euramericana Guinier)에 제1인산암모늄(monoammonium phosphate, MAP)과 붕산(boric acid)을 혼합 약제로 처리하여, 난연재이면서 방부재인 처리재를 백색부후균(Trametes versicolor)과 갈색부후균(Tyromyces palustris)으로 부후시켜 처리재와 무처리재의 종압축강도를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으로 판독하였다. 무처리재보다 처리재의 비중과 압충강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수종별에 따르면 이태리포플러재보다 소나무재의 비중과 압축강도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의 사진상에서 무처리재와 약품처리재에 T. versicolor균과 T. palustris균으로 부후시킨 결과 부후가 진행됨에 따라 무처리재가 처리재보다 세포벽의 파괴가 현저함을 보여 주었고, 또한 T. versicolor균과 T. palustris균의 부후성을 보면 T. palustris균의 목재 열화가 다소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