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ing a Model for Cancer Damage Cost Due to Risk from Benzene in Ulsan Metropolitan City

울산 지역에서 대기중 벤젠으로 인한 암 사망 손실비용 추정 모형에 관한 연구

  • 이용진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
  • 김예신 (연세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
  • 신동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신영철 (대진대학교 디지털 경제학과)
  • Published : 2004.03.31

Abstract

The study aimed to evaluate cancer damage cost due to risk from benzene inhalation. We performed health risk assessment based on US EPA guideline to estimate annual population risk in Ulsan metropolitan city. Also, we estimated a willingness-to-pay amount for reducing a cancer mortality rate to evaluate a value of statistical life. We combined the annual population risk and the value of statistical life to calculate the cancer damage cost. In the health risk assessment, we applied the benzene unit risk ($2.2{\times}10^{-6}{\sim}7.8{\times}10^{-6}$) in the US EPA'S Integrated Risk Information System to assess the annual population risk. Average concentration of benzene in ambient air is $7.88{\mu}g/m^3$(min: 1.16~max: $23.32{\mu}g/m^3$). We targeted an exposure population of 516,641 persons who aged over 30 years old. Using a Monte-Carlo simulation for uncertainty analysis, we evaluated that the population risk of benzene during ten years in Ulsan city is 2.90 persons (5 percentile: 0.32~95 percentile: 9.11persons). And the monthly average WTP for 5/1,000 cancer mortality reduction during ten years is 14,852 Won(95% C.I: 13,135~16,794 Won) and the implied VSL is 36 million Won(95% C.I: 30~40 million Won). Cancer damage cost due to risk from benzene inhalation during 10 years in Ulsan city is about 104 million Won(5 percentile: 13~95 percentile: 328 million Won). Health benefit cost to reduce a cancer mortality risk of benzene is about 50 million Won is Ulsan metropolitann city. But, it is very important that this cost is not for all health damage cost of cancer mortality in some area. We just recommended a model for evaluating a cancer risk reduction, so we must re-evaluate an integrated application of total VOCs damage cost including benzene.

울산 지역에서 대기중 벤젠으로 인한 발암 인체영향에 대한 경제성 평가를 위해서, 건강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여 대상 지역의 이론적 암 사망자수를 추정하고, 대상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가상 가치평가법을 통한 위해도 감소의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여 1인의 통계적 생명가치액을 유도하여 이론적 암 사망자수에 대한 사망 손실비용을 유도하였다. 대상 지역의 대기중 벤젠의 평균 농도는 $7.88{\mu}g/m^3$(min: 1.16~max: $23.32 {\mu}g/m^3$)로 조사되었다. US EPA IRIS의 벤젠 단위 위해도 $2.2{\times}10^{-6}{\sim}7.8{\times}10^{-6}$을 사용하고, 30세 이상의 노출인구수 51만 6,641명에 대한 연간 인구 집단 위해도를 추정한 결과 10년간 발생 가능한 발암 사망자수는 2.90명(5 percentile: 0.32명~95 percentile: 9.11명)으로 조사되었다. 1인의 통계적 생명가치액을 추정하기 위하여, 공단 지역의 지불의사금액 모형을 추정한 결과, 응답자의 암 치료경험 유 무와 기대 여명, 가족수, 교육수준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조사되었고, 연간 1만 명당 5명의 위해도 감소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은 월 1만 4,852원(95% C.I: 1만 3,135원~1만 6,794)으로 산출되었으며, 위해도 감소치를 고려한 1인의 통계적 생명가치액은 약 3억 6,000만 원(95% C.I: 3억 2,000만 원~4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대기중 벤젠의 발암 영향으로 인한 건강 손실비용은 발암 위해성 평가로 추정된 이론적 사망자수에 1인의 통계적 생명가치액을 곱하여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현 수준의 벤젠의 발암 영향이 10년간 지속될 경우 약 10억 원(5 percentile: 1억 원~95 percentile: 33억 원)의 건강 손실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 대기중 벤젠의 노출로 인한 위해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벤젠 단독물질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10년간 약 10억 원에 대응하는 감소 대책에 투자하여야 한다. 그러나 벤젠 한 물질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안은 현실적이지 못하므로, 이 연구를 모델로 하여 차후 벤젠을 포함한 휘발성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통합 적용이 필요하고 손실비용을 재추정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