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준거지향적 수행평가 문항의 개발과 평가 -고등학교 과학 "생식"과 "생물 농축"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riterion-Reference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ubject Unit of Reproduction and Biological Accumulation-

  • 발행 : 2004.06.30

초록

최근 제7차 교육과정이 실시되면서 준거 지향적인 수행평가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평가의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할 필요성 또한 절실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고등학교 과학 중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 대해서 필수 학습 요소, 성취 기준, 평가 기준 및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한 평가 문항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과학의 7종 교과서를 바탕으로 하여, '생식' 과 '생물 농축' 단원의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준거 지향 평가의 기초가 되는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추출된 필수 학습 요소는 '생식' 단원에서 12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4개이었으며, 개발된 성취 기준은 '생식' 단원에서 총 26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총 9개로 각각은 지식(K), 탐구(P), 태도(A)의 세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개발된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기준의 수는 '생식' 단원에서 총 25개, '생물 농축' 단원에서 9개였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에 따라 '생식' 단원과 '생물 농축' 단원에서 개발된 평가 문항의 수는 서술형 문항 17개, 논술형 문항이 13개, 포트폴리오가 2개로 총 22문항이었다. 각 평가 문항은 구체적인 채점 기준을 제시하였으므로, 교육과정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에 사용될 수 있다. 개발된 평가 문항 중, 서술형 문항 8개를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1학년 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적용 분석하였다. 서술형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을 두 가지 검사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는데, 평가 문항의 기본적인 양호도 검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서술형 문항들은 난이도와 변별도 면에서 전반적으로 적절한 지수를 보여 수행 평가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문항들이었다. 개발한 서술형 수행 평가 문항들은 미리 개발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교수 학습의 목표와 내용에도 적합하였다. 고전 검사 이론과 다분 문항 반응 이론에 의해 분석된 문항의 변별도에는 언어적인 해석의 차이가 없었으나, 문항 난이도의 경우는 고전 검사 이론을 사용하였을 때 집단의 특성이 많이 나타나 다분 문항 반응 이론을 사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해석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d emphasis on performance assessment to evaluate students' abilities. Our nation has introduced a change in testing and assessment. Additional work on the efficacy, reliability, and comparability in order to develop the performance assessment item has been needed in the enforcement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lso, criteria for professional and technical standards has been needed to b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out various key concepts and to develop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 an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n the subject matter of reproduction(chapter 13) and biological accumulation(chapter 17). And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validity of completed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based on classical test theory and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Twelve key concepts in chapter 13(reproduction) and four from chapter 17(biological accumulation) were abstracted. Twenty-six achievement standards in chapter 13(reproduction), and nine in chapter 17(biological accumulation) were developed.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termined in terms of knowledge(K), process skill(P) and attitude(A). Twenty-five assessment standards in chapter 13(reproduction) and nine in chapter 17(biological accumulation)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twenty-two performance assessment items(seventeen open-ended questions, three essays, and two portfolios) with concrete grading criteria were developed. Eight open-ended items were applied to 240 10th graders to evaluate reliabilities of the test which consisted of four items per each chapter. The results would be suggested that the applied items were valid for performance assessment because item difficulties and item discriminations were proper.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s in item discrimination between interpretation from classical test theory and that from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item difficulties between the interpretations of two theorie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examinees were reflected in classical test theor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순회(2001). 과학과 수행 평가 문항 - 제 7차 교육과정중학교 1학년. 서울:자유아카데미
  2. 교육부(1998).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별책 9]).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1999).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제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별책9]).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김원중, 이강주, 오능수, 정태주, 정용직(1995).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작성 자료-지적영역(교육자료 95-8). 대전: 대전광역시 교육연구원
  5. 김찬종, 서만석, 김희백, 심채호, 현종오, 한인옥, 권성기, 박성식(2001). 고등학교 과학. 서울: (주)도서출판 디딤돌
  6. 남명호(1995). 수행평가의 타당성 연구. 교육평가연구, 8(2), 115-143
  7. 남현우(1998). 수행평가의 측정학척인 문제들에 관한 고찰. 교육평가연구, 11(2), 1-21
  8. 박정(2001).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한 수행형 명가문항 분석 방법. 교육학 연구, 39(2), 215-232
  9. 백순근, 소경희, 김광주(1998).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총론(연구보고 RRE 98-3-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성민웅, 김봉곤, 조성동, 강대훈, 강충호, 구자옥, 노일환, 이용철, 임태훈, 최범선, 한인태(2001). 고등학교 과학, 서울: 문원각
  11. 성태제 편역(1991). 문항반응이론 입문. 서울: 양서원
  12. 성태제(1996).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양서원
  13. 오규환, 이춘우, 오두환, 김영유, 경재복, 이경훈, 박태윤, 이영직, 백수관, 김병인, 김봉래, 이기영(2001). 고등학교 과학. 서울: (주)중앙진흥교육연구소
  14. 이규석, 조희형, 박봉상, 박문수, 심국석, 심종섭, 최진복, 장정찬, 이창진, 이용준(2001). 고등학교 과학. 서울: 대한교과서(주)
  15. 이문원, 전성용, 최병수, 권석민, 노태희, 허성일, 김출배, 강석진, 박희송, 김경호, 김규상, 채광표, 김진만, 정대영(2001). 고등학교 과학. 서울: (주)금성출판사
  16. 이양락, 이선경, 홍미영, 홍재식, 이미경(1998). 국가 교육 과정에 근거한 평가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 고등학교 공통과학(연구보고 RRE 98-3-7). 서울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17. 이연우, 강석본, 김인석, 김성진, 이진우, 안종제, 배미정, 전화영(2001). 고등학교 과학. 서울: 서울교육정보
  18. 정완호, 권재술, 김대수, 김범기, 신영준, 우종옥, 이길재, 정진우, 최병순, 황원기 (2001). 고등학교 과학. 서울: (주)교학사
  19. Baker, F. B.(1985). The basic of item response theory. Portmouth, N. H.: Heinemann
  20. Cronbach, L. J.(1984). Essentials of psychological testing. 4th ed. New York: Harper& Row
  21. Ebel, R. L., Frisbie. D. A.(1986). Essentials of educational measurement. 4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2. Glaser. R.(1963).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the measurement of learning outcomes: some questions. American Psycbologist, 18
  23. Glaser. R. Lesgold. A., Lajoie. S.(1987). Toward a cognitive theory for the measurement of achievement. R. R. Ronning, J. A. Glover, J. C. Conoley, J. C. Witt (Ed'.) The influence of cognitive psychology on testing. Hillsdale. NJ: Erlbaum
  24. Muraki. E., Bock, R. D.(1998). PARSCALE: IRT based test scoring and item analysis for graded openended exercises and performance tasks. Chicago. IL: Scientific Software
  25. Tyler, L. E.(1963). Tests and measurements.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26. Whitehead, A. N.(1967). The aims of education and other essays. London: Williams & Norg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