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to enhance teaching efficacy. Total of 12 classes of eight science teachers were observed and were interviewed. The classes were video taped and all the verbal interactions were transcribed. The transcribed content and interviews were further analyzed to draw any conclusions on the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alysis criteria for the data on the class and interview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pplied to analyze the collected content. The analyzed data showed that verbal interactions composed of confirmation questions for memorization, students' short responses and teacher's immediate feedbacks. The results of the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ies on the interactional techniques for teacher in utilizing the class materials and activities. The teachers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questions and feedbacks of teachers for students to stimulate their sound learning through literatures.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관찰 분석하여 이에 대한 특징을 추출함으로써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수업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으며, 8명의 과학 교사의 수업 12차시를 관찰 및 녹화하였으며, 교사와의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업 분석 결과, 관찰한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주로 교사의 단순 확인/기억 질문, 학생의 단답형 응답, 교사의 즉각적 피드백이 주를 이루었다. 교사가 사고 질문을 하고 지연 피드백을 부여 하는 경우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고 이를 기반으로 사고를 진전시켜 나갈 수 있었으나 이러한 사례는 그 수가 상당히 적었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사고를 유발하고 이를 진전시키기 위한 노력보다는 수업 내용을 논리적 흐름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에 더 큰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관찰한 수업에서 교사가 시범 실험, 모형 혹은 실물 수업자료 등을 활용할 때 보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교사가 학생들의 생각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진전시켜 나가는 과정을 도모하지 않음으로써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단절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수업 활동과 수업 자료 활용이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각각의 활용에 있어서 학생들과 구체적으로 어떠한 상호 작용을 형성해야 하는지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져야하며, 또한 교사는 교사의 질문이나 피드백이 학생들의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인식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1998). 왜 구성주의인가 : 정보화시대와 학습자중심의 교육환경. 서울: 문음사
  2. 곽영순(2003). 질적연구로서 과학 수업 비평. 서울: 교육과학사
  3. 엄재호, 남정희, 최병순(2000).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형성평가의 실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2), 83-92
  4. 조희형과 최경희(2001). 과학교육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5. Driver, R.(1995). Constructivist approaches to scienceteaching. In L. P. Steffe & J. Gale (Eds.), Constructivism in education (pp. 385-400). Hillsdale, N. 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6. Duit, R., & Treagust, D. (1998). Learning in science from behaviorism towards social constructivism and beyond. In B. J. Fraser & K. G. Tobin(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cience education.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7. Edward, D., & Mercer, N. (1987). Common Knowledge: The development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London; New York : Routledge
  8. Harlen, W., & James, M. (1997). Assessment and learning: Differences and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 and summative assessment. Assessment in education, 4(3), 365-379 https://doi.org/10.1080/0969594970040304
  9. Hogan, K., Nastasi, B. K., & Pressley, M. (1999). Discourse Patterns and Collaborative Scientific Reasoning in Peer and Teacher-Guided Discussions. Cognition and Instruction. 17(4), 379-432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704_2
  10. Lanadale, K. (1998). Peer Collaboration Versus Teacher-directed Instruction: How Two Methodologies Engage Students in the learning proces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3(1), 27-32 https://doi.org/10.1080/02568549809594724
  11. Mortimer. E., & Scott, P. (2000). Analysing discourse in the science classroom. In R. Miller, J. Leach & J. Osborne (Eds.), Improving science education :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pp. 126-142). Buckingham : Open University Press
  12. Roth. W. M., & Boutonne, S. (1999). One class, many worl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 59-75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831
  13. Solomon, J. (1989).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hool Science. In R. Miller (Ed.), Doing Science: Images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126-136), London: Falmer Press
  14. von Glasersfeld, E. (1995). Radical constructivism: Away of learning. London: The Falmer Press
  15.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6. Wertsch, J. V. (1985). Vygotsky and the social formation of mind. Cambridge, M. A.: Harvard University Press
  17. Wood, T. (1995). From alternative epistemologies to practice in education : Rethinking What it means to teach and learn. In L. P. Steffe & J. Gale(Eds.), Constructivism in Education (pp. 331-349).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