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Hardening Zone by Vacuum Consolidation Drainage Method

진공압밀 배수공법에 의한 Hardening Zone에 대한 연구

  • 정연인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희중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장준호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2004.03.19
  • Published : 2004.07.31

Abstract

The relationships were studied between the range of hardening zone and the intensity of vacuum pressure in case of applying vacuum consolidation drainage method for soil improvement. A testing apparatus was made to measure the range of hardening zone varying the water content and the intensity of vacuum pressure for 3 different the highly compressible dredged clays(Gwangyang, Busan and Mokpo). In case of applying high vacuum pressure, the hardening zone is not spreaded as compared to low vacuum pressure because of the clogging of drainage and developed hardening zone near the drainage.

연약지반 개량을 위해 진공압밀공법을 적용할 경우 발생되는 Hardening Zone의 범위와 진공압 세기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위 셀 형식의 시험기를 제작하여 국내의 대표적 준설매립공사지역인 광양, 부산, 목포에서 채취한 고함수비 상태에서의 준설점성토에 대해 각각 함수비와 콘저항치수를 측정하여 진공압의 변화에 따른 Hardening Zone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높은 진공압상태에서는 배수재의 막힘현상과 배수재 부근에서 빠르게 생성되는 Hardening Zone 등으로 인하여 배수층으로의 간극수의 흐름이 방해되어 낮은 진공압상태에서 보다 Hardening zone의 범위가 커지지는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