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ura Nephritis"> Angiotensinogen M235T Polymorphism in Children with $Henoch-Sch\"{o}nlein$ Purpura Nephritis

Purpura 신염에서 Angiotensinogen M235T 유전자 다형성"> $Henoch-Sch\"{o}nlein$ Purpura 신염에서 Angiotensinogen M235T 유전자 다형성

  • Ha Chang-W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
  • Joo Hee-J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
  • Park Ji-K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
  • Chung Woo-Yeong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 하창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 ;
  • 주희정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 ;
  • 박지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 ;
  • 정우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소아과)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Purpose : $Henoch-Sch\"{o}nlein$ purpura(HSP) nephritis has a variable range of prevalence from 25 to 50% among HSP patients and is a common cause of chronic glomerulonephritis in children. In our study, we evaluated the distribution and the association of the angioten-sinogen(AGT) M235T polymorphism with the clinical manifestations, particularly proteinuria in children with HSP with or without nephritis. Methods : The AGT M235T polymorphism was determined in children with HSP nephritis (n=33) or HSP without nephritis(n=28) who had been diagnosed at Busan Paik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June 2001. The M235T polymorphism of the AGT gene was determined by PCR amplification of the genomic DNA. Results : The M235T polymorphism of AGT gene frequency was MM 75%, MT : 25%, TT : 0% in HSP and MM : 64%, MT : 36%, TT : 0% in HSP nephriti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otype and allele frequencies between the two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manifestations at onset and last follow-up were seen between the two genotypes. When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M allele, the amount of 24-hour urinary protein excretion and the incidence of moderate to heavy proteinuria(>500 $mg/m^2/day$) at onset and at last follow-up were higher in the MT genotype than in those of in the MM genotype but these differ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 We suggest a lack of association between M235T polymorphism of the AGT gen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in children with HSP nephritis. However, further follow-up studies based on sufficient number of patients and long term follow up periods are necessary to confirm the role of M235T polymorphism of AGT gene in children with HSP nephritis.

목 적 : HSP 사구체 신염은 소아 만성 사구체신염의 흔한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HSP 환자들을 신장 침범이 있는 군과 없는 군으로 분류, 양 군 사이에 AGT 유전자의 235번 아미노산이 methionine에서 threonine으로 치환되는 AGT M235T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HSP 신염 환자군을 대상으로 AGT M235T 유전자 다형성이 임상양상과 관련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부터 2001년 6월까지 부산백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HSP로 진단된 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AGT M235T 유전자형은 PCR로 측정하였다. 결 과 : 1) AGT M235T 유전자형의 분포는 HSP군에서 MM형이 75%, MT형이 25%, 그리고 TT형이 0%이었다. HSP 신염군에서는 MM형이 64%, MT형이 36%, TT형이 0%으로 HSP 신염군과 HSP 군 사이에 유전자형 분포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HSP 신염군에서 각각의 유전자형에 따른 단백뇨의 동반, 사구체 여과율, 혈청 알부민, 혈청 크레아티닌치 등은 초기와 추적 관찰 후의 검사에서 유전자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추적기간 동안 말기 신부전으로 진행되어 신장이식을 받은 1명은 MT형이었으며 나머지 환자는 모두 정상 신기능을 유지하였고, 고혈압의 발생도 관찰되지 않았다. 3) 24시간 채집뇨의 단백량은 초기와 추적관찰 후 각각 MT형이 MM형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3529, P=0.8469). 중등도 이상의 단백뇨(≥500 $mg/m^2/day$)를 가진 경우도 초기와 추적 관찰 후 각각 MM형에서 29%, 20%, MT형에서 42%, 36%로 MT형이 MM형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 소아 HSP 신염 환자에서 AGT M235T 유전자형의 분포는 HSP 환자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경우 추적 관찰기간은 평균 25개월이므로 보다 정확한 HSP 신염에 대한 AGT 유전자 다형성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증례를 대상으로 하여 장기간의 추적 관찰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