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ymptomatic Primary Hematuria in Children

소아의 무증상성 일차성 혈뇨

  • Cho Min-Hyu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You-Cheo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Cheol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oo Ja-Hoon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o Cheol-Woo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조민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장유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영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구자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고철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Purpos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various renal diseases causing asymptomatic hematuria in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benefit of doing renal biopsy in these children. Methods: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146 children with asymptomatic primary hematuria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pediatric departmen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the past 4 years from 1999 to 2002. In 122 out of 146 cases, renal biopsy was performed percutaneously and in 24 out of 146 cases, diagnosed as idiopathic hypercalciuria, oral calcium loading test was performed. Results: The age$(mean{\pm}SD)$ at onset or discovery of hematuria of the 146 children in-cluded in this study was $8.0\pm3.2$ years and the proportion of boys and girls was 54.8% and 45.2%, respectively. In 76 out of 146 cases(52%), asymptomatic hematuria was first diagnosed by school urinalysis screening. The proportion of histopathologic findings based on 122 biopsies was as follows : Thin Glomerular Basement Membrane(TGBM) 73 cases(50%): IgA nephropathy 20 cases(14%): Alport syndrome 6 cases(4%), Membranous Glomerulonephropathy(MGN) 4 cases(3%): Membranoproliferative Glomerulonephritis(MPGN) 2 cases(1%); IgA nephropathy with TGBM 3 cases(2%): 'normal' glomeruli 14 cases(10%) Twenty four cases (16%) were diagnosed as idiopathic hypercalciuria. During follow-up periods, 15% of 146 cases became hematuria-free and renal function did not deteriorate in any cases. Conclusion: Unless hematuric children manifest poor prognostic indicators for renal survival, we would recommend long term regular follow-up prior to a renal biopsy.

목적: 최근 학생집단뇨검사 시행이후 나타난 소아의 무증상성 일차성 혈뇨의 원인을 확인하고 신생검의 적합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대상 환아는 1999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무증상성 반복성 육안적 혈뇨 또는 지속성 현미경적 혈뇨를 주소로 입원한 146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22례에서는 신생검을 시행하였다. 홍반성 낭창, 알레르기성 자반증 등의 전신질환 및 요로감염의 경우는 제외하였으며 고혈압, 부종 등의 증상을 동반한 경우도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의 평균연령은 $8.0\pm3.2$세였으며 전체의 51.4%인 75례가 6세에서 10세 사이에 분포하였다. 총 146명 중 남아가 80례(54.8%), 여아가 66례(45.2%)로 남아의 비율이 조금 높았다. 무증상성 혈뇨를 처음 발견한 과정을 보면 전체의 52%인 76례가 학생집단뇨검사를 통한 경우였으며, 육안적 혈뇨를 통해 발견한 경우가 41례, 우연한 기회로 발견한 경우가 29례였다. 원인 질환의 분포를 보면 TGBM이 73례로 전체의 50%를 차지하였고, IgA 신병증이 20례(14%), Alport 증후군이 6례(4%), MGN이 4례(3%), MPGN이 2례(1%)를 차지하였다. 기타로 IgA 신병증과 TGBM이 동반되어 나타난 경우가 3례(2%)가 있었으며 정상 조직소견을 보인 경우는 14례(10%)였고 나머지 24례(16%)는 특발성 고칼슘뇨증으로 진단되었다. 추적관찰 기간 중 혈뇨 소실의 빈도는 TGBM의 경우 3-4년 이내에 10%였고, IgA 신병증의 경우 3-4년 이내에 20%였으며, 정상 조직소견을 보인 경우 1-2년 이내에 27%였다. 전체적으로는 1-2년 이내에 17% 정도가 혈뇨의 소실을 보였으며, 추적관찰 기간 중 신부전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한 례도 없었다. 결론: 무증상성 혈뇨를 진단, 치료함에 있어 진행성 신질환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예후인자가 없다면 신생검보다는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추적관찰만으로도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