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DS를 이용한 개별문서의 계층적 지식구조 브라우징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ing Hierarchical User Interface Model for Brows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a Single Document Using MDS

  • 한승희 (일본 게이오대학교 도서관.정보학과) ;
  • 이재윤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Han, Seung-Hee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eio Univ.) ;
  • Lee, Jae-Yun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yonggi University)
  • 발행 : 2004.12.31

초록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정보검색 환경에서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 개별문서의 계층적 지식구조 브라우징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계층적 형태를 갖는 개별문서의 지식구조를 자동 생성하기 위해 개별문서에 출현한 용어를 이용하여 대군집과 소군집의 용어 클러스터링 결과에 대해 클러스터 대표어 선정 작업을 수행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하여 2차원 공간에 개별문서의 지식구조를 표현함으로써 이용자가 개별문서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브라우징 인터페이스를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hierarchical user interfaces for brows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a single document. To generate the hierarchical knowledge structure, hierarchical term clustering and cluster representative term selection were performed with a single thesis in information science field, and the result was applied to design the interfaces which browse a single document hierarchically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The interfaces can be applied to develop the user-friendly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키워드

참고문헌

  1. 서은경. 2002. 정보시각화에 대한 스킴모형별 비교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4): 175-205. https://doi.org/10.4275/KSLIS.2002.36.4.175
  2. 유영준. 2003. 문헌정보학의 지식 구조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3. 이미경. 2002. 동시출현 단어 분석을 통한 지식구조 파악에 관한 연구: 인공지능 분야를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4. 이태영. 1990. 한국어 초록문의 문장과 내용에 관한 연구. 情報管理硏究, 21(1): 1-33.
  5. 정영미. 1993. 정보검색론, 개정판. 서울: 구미무역(주)출판부.
  6. 한승희. 2004.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개별문서의 지식구조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7. Anderberg, Michael R. 1973. Cluster Analysis for Applications. New York: Academic Press.
  8. Ding, Ying, Gobinda G. Ghowdhury, and Schubert Foo. 2001. “Bibliometric Cartography of Information Retrieval Research by using Coword Analysi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37: 817-842. https://doi.org/10.1016/S0306-4573(00)00051-0
  9. Doyle, Lauren B. 1961. “Semantic Road Maps for Literature Searchers”. Journal of the ACM, 8(4): 553-578. https://doi.org/10.1145/321088.321095
  10. Lin, Xia. 1997. “Map Displays for Information Retriev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8(1): 40-54. https://doi.org/10.1002/(SICI)1097-4571(199701)48:1<40::AID-ASI6>3.0.CO;2-1
  11. Maloney, R. K. 1974. “Title versus Title/Abstract Text Searching SDI System”.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25(6): 370-373. https://doi.org/10.1002/asi.4630250606
  12. Nenadic, G., Spasic, I., and Ananiadou, S. 2002. “Term Clustering using a Corpus-Based Similarity Measure”. in Sojka, P., Ivan Kopecek, and Karel Pala Eds. Text, Speech and Dialogue(TSD 2002), Berlin: Springer, 151-154.
  13. Sneath, Peter, H. A., and Robert R. Sokal. 1973. Numerical Taxonomy: The Principles and Practice of Numerical Classification. San Francisco: W. H. Freeman and Company.
  14. Tombros, Anastasios, Robert Villa, and C. J. Van Rijbergen. 2001. “The Effectiveness of Query-specific Hierarchic Clustering in Information Retriev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38: 559-582. https://doi.org/10.1016/S0306-4573(01)00048-6
  15. Tombros, Anastasios. 2002. The Effectiveness of Query-based Hierarchical Clustering of Documents for Information Retrieval. Ph.D. diss., Department of Computing Science, University of Glasgow.
  16. van Rijbergen, C. J. 1973. Information Retrieval. 2nd ed. London: Butterworths.
  17. Ward, J. H. 1963.“ Hierarchical Grouping to Minimize an Object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8: 236-244. https://doi.org/10.2307/2282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