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with Rice

쌀 분말 첨가량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 Paik, S.H. (Depart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Cheonan Yonam College) ;
  • Bae, H.C. (Division of Animal Science &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Nam, M.S. (Division of Animal Science &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백승희 (천안연암대학 외식산업학과) ;
  • 배형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학부) ;
  • 남명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학부)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Yogurt was prepared from skim milk added with 1, 2, 4 or 6% of rice- or skim milk powders and commercial lactic acid bacterial starters. Changes in pH, titratable acidity, viable cell counts, viscosity, organic acid contents and carbohydrates during fermentation were monitored and its sensory evaluation was also performed. The optimum level of additives such as rice- and skim milk powders for yogurt manufacture was selected.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gurt added with rice and skim milk powders were studied. The control yogurt reached pH 4.5 after 10 hours of fermentation, whereas the samples added with 4 or 6% rice powders reached pH 4.5 in 6 hours and those added with skim milk powder reached in 8 hours. After 4 hours of fermentation, the control yogurt reached a titratable acidity at 1.0 %, whereas other samples exceeded 1.0%. After 4 hours of fermentation, the viable cell counts in the samples added with 4% rice powders were the highest. At the level of 4% rice powders, the curd viscosity decreased. Except for the sample added with 6% skim milk powders, all the samples produced higher lactic acid during fermentation, and galactose level in yogurt was the highest when added with 4% rice powder or 6% skim milk powder. In overall sensory evaluation using 5 parameters, the sensory scores of all the yogur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 sample added with 4% skim milk powders was the best for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sample added with 4% rice powders was the best for the flavor and texture. From this experiment, the optimun level of additives such as rice or skim milk powders was selected to be 4%.

본 연구는 상업용 혼합균주인 L. delbrueckii ssp. bulgricus와 S. salivarius ssp. thermophillus를 사용하여 쌀 분말과 탈지분유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요르트를 제조한 후 배양 시간의 경과에 따른 pH와 산도, 젖산균 수, 점도, 유기산, 탄수화물의 종류와 함량 및 관능성을 측정하여 최적의 기질로 사용할 수 있는 쌀 분말과 탈지분유의 적정 첨가량을 선정하였다. 대조구는 배양 10시간째 요구르트의 적정 pH인 4.5에 도달하였으나 쌀 분말을 4%, 6% 첨가한 시료는 배양 6시간째, 탈지분유를 첨가한 시료는 첨가량에 관계없이 배양 8시간째 적정 산도에 도달 하였다. 산도는 대조구의 경우 배양 4시간째 적정 산도인 1.0에 도달하였으나 쌀 분말과 탈지분유를 첨가한 시료는 첨가량에 관계없이 배양 4시간째 적정 산도를 초과하였다. 쌀 분말을 4% 첨가한 시료와 탈지분유를 4%, 6% 첨가한 시료는 배양 4시간째에 젖산균의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점도는 쌀 분말의 경우 4% 이상 첨가하면 casein이 커드 형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지분유를 6% 첨가한 시료를 제외하고는 모두 대조구보다 lactic acid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쌀 분말을 4% 참가한 시료에서 galactose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관능검사는 각 항목별로 시료 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색과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 탈지분유를 4% 첨가한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풍미와 조직감에 있어서는 쌀 분말을 4% 첨가한 시료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쌀 분말과 탈지분유의 최적 첨가량은 각각 4%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Alm, L. 1982a. Effect of fermentation on lactose, glucose, and galactose content in milk and suitability of fermented milk products for lactose intolerant individuals. J. Dairy Sci. 65:346-352.
  2. Barnes, D. L., Harper, S. J., Bodyfelt, F. W. and Mcdaniel, M. R. 1991. Correlation of descriptive and consumer panel flavor ratings for commercial prestirred strawberry and lemon yogurts. J. Dairy Sci. 74:2089-2099.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91)78381-1
  3. Brock, T. D. and Madigan, M. T. 1991. Biology of Microorganism. Prentice-Hall, New Jersey, p771.
  4. Cheng, Y. J., Thompson, L. D. and Brittin, H. C. 1990. Sogurt, a yogurt-like soybean product: Development and properties. J. Food Sci. 55:1178-1179. https://doi.org/10.1111/j.1365-2621.1990.tb01631.x
  5. Deeth, H. C. and Tamine, A. Y. 1981. Yogurt: Nutritive and therapeutic aspects. J. Food Protection. 44:78-86. https://doi.org/10.4315/0362-028X-44.1.78
  6. Jeon, F. M., Galitzer, S. J. and Hennessy, K. J. 1984. Rapid determination of lactose and its hydrolysates in whey and whey permeat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Dairy Sci. 67:884-887.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84)81382-X
  7. Kilara, A. and Shahani, K. M. 1976. Lactase activity of cultured and acidified dairy products. J. Dairy Sci. 61:2031-2035.
  8. Kroger, M. 1976. Quality of yogurt. J. Dairy Sci. 59:344-350.
  9. Saidi, B. and Warthesen, J. J. 1989. Analysis and stability of orotic acid in milk.. J. dairy Sci. 72:2900-2905.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89)79440-6
  10. Tamine, A. Y. and Robinson, R. K. 1985. Yogurt: Science and Technology. Pergamon Press Ltd. England.
  11. 고영태, 김영배, 백정기. 1984. 대두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탈지 대두로 제조된 유산균음료의 저장성. 한국농화학회지. 27:163-168.
  12. 김경희, 고영태. 1993. 우유와 곡류를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 한국식품과학회지. 25:163-168.
  13. 김문숙, 안은숙, 신동화. 1993. 팽화미의 첨가가 요구르트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5:258-263.
  14. 김종우. 1996. 인삼을 첨가 제조한 액상 요구르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 23:219-226.
  15. 김혜경, 2001. 오디 첨가 요구르트의 발효특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김혜정, 고영태. 1990. 우유와 대두단백질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2:700-706.
  17. 농촌진흥청 농촌영양개선연수원. 1991. 식품성분표. p12.
  18. 목철균, 남영중, 김영진, 김남수, 권대영, 남영중. 1991. 쌀의 젖산발효 중 전분 가수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품질향상. 한국식품과학회지. 23:739-744.
  19. 박동준. 1994. 탈지유와 두유를 이용한 요구르트 제조조건의 최적화.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 백지혜, 고영태. 1992. 쌀의 저장기간이 쌀 첨가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4:470-476.
  21. 식품공전. 1994. 한국식품공업협회. 서울.
  22. 신용서, 이갑상, 김동한. 1993. 고구마와 호박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5:666-671.
  23. 신용서, 성현주, 김동한, 이갑상. 1994. 감자를 첨가한 요구르트 제조와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6:266-271.
  24. 엄성신, 유지창, 고영태. 1993. 전분의 첨가가 호상 요구르트에서 젖산균의 산 생성과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5:747-752.
  25. 유지창, 임숙자, 고영태, 1984. 농축대두단백을 이용한 요구르트 제조, 한국식품과학회지. 16:143-148.
  26. 이성갑, 김기철. 1988. Lactobacillus acidophillus에 의한 보리당화액의 젖산 발효. 한국농화학회지. 31:255-260.
  27. 이신구. 1983. 우유 및 유제품 검사. 선진문화사. 서울.
  28. 홍외숙, 고영태. 1991. 우유와 쌀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3:587-592.

Cited by

  1.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Korean rice wine lees powder vol.59, pp.4, 2016, https://doi.org/10.3839/jabc.2016.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