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Variety and Harvest Date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in Winter Rye

호밀의 품종 및 수확시기가 사초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4.04.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Cheonan Yonam Experimental Livestock Farm in 2001-2002 to detennine the effect of harvest date(20 April, 26 April and 4 May) on forage yield and quality of rye varieties of three different maturing groups(early maturing variety = ‘Koolgrazer’ midseason maturing variety = ‘Horni122’ and late maturing variety = ‘Danko’). The heading date of Kooigrazer, Hornil22 and Danko were 17, 22 and 29 April, respectively. Dry matter percentage increased from 15.6 to 21.6% as the harvest date was delayed from April 20 to May 4. Among the rye varieties tested, dry matter percentage of Koolgrazer, Hornil22 and Danko were 20.9, 18.8 and 16.3%, respectively. Dry matter yield increased from 1l.2 to 13.9 ton/ha as the harvest date was delay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rye varieties. As the harvest date was delayed, total digestible nutrients(TDN) yield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7.4 to 8.4 ton/ha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rye varieties. Crude protein(CP) percentage decreased from 20.3 to 17.1% as the harvest date was delayed, and CP percentage of late maturing variety, Dank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varieties. In content of fiber component(NDF, ADF, ADL, hemicellulose and cellulose) of rye, the late harvest date(4 May) showed the highest among harvest dates. From comparisoo within rye varieties tested, Kooigrazer, a early maturing variety had higher than a rnidseason and late maturing varieties, Hornill22 and Danko. The cellulase digestible of organic matter of dry matter(CDOMD) decreased as the harvest date was delayed. Among the rye varieties tested, the CDOMD of a early maturing variety, Koolgrazer was the lowest. Our study differences of winter rye in forage yield and quality resulting from variety maturity and harvest stage. A early maturing variety, Kooigrazer should be harvested between 24 and 28 April, Hamill 22(midseason maturing variety) harvested between 29 April and 3 May, Danko(late maturing variety) harvested between 4 and 8 May for maximum forage yield and optimum quality.

본 시험은 숙기가 다른 호밀 4품종(조생종=‘Koolgrazer’, 중생종=‘Homil22’ 및 만생종=‘Danko’)을 공시하여 수확시기를 4월 20일, 4월 26일 및 5월 4일로 달리하였을 때 호밀의 사초수량과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천안연암대학실습농장에서 2001년에서 2002년까지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Koolgrazer, Homil22 및 Danko의 출수기는 각각 4월 17일, 22일 및 29일 이었다. 건물률은 수확시기가 4월 10일에서 5월 4일로 늦어짐에 따라 15.6%에서 21.6%로 증가하였다. 한편 품종간 비교에서는 Koolgrazer, Homil22 및 Danko가 각각 20.9, 1838 및 16.3%로 Koolgrazer가 가장 높았다. 호밀의 건물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ha당 11.2톤에서 13.9톤으로 증가하였으나, 호밀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가소화영양소 총량(TDN) 수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ha당 7.4톤에서 8.4톤으로 증가하였으며 한편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수확기기가 늦어짐에 따라 20.3%에서 17.1%로 감소하였으며, 품종 중에서는 만생종인 Danko가 Koolgrazer 및 Homil22보다 높았다. 섬유소 함량(NDF, ADF, ADL, Hemicellulose 및 Cellulose)에서는 만기수확인 5월 4일이 수확시기 중 가장 많았다. 한편 호밀의 품종간 비교에서는 조생종인 Koolgrazer가 중생종과 만생종인 호밀22 및 Danko보다 섬유소 함량이 많았다. Cellulase에 의한 유기물 소화율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품종간 비교에서는 조생종인 Koolgrazer가 가장 낮았다. 호밀의 품종과 수확기기간에는 사초생산성 뿐만아니라 품질에서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사초생산성이 최대이고 적정 품질을 위한 조생종인 Koolgrazer 시기는 4월 24일에서 4월 28일, 종생종인 Homil22는 4월 29일에서 5월 3일, 만생종인 Danko는 5월 4일에서 5월 8일이라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Cleale, R. M. I. V. and Bull, L. S. 1986. Effect of forage maturity on ration digestibility and production by dairy cows. J. Dairy Sci. 69:1587.
  3. De Boever, J. L., Gottyn, B. G., Buysee, F., Wainman, F. W. and Vanacker, J. M. 1986. The use of and enzymatic technique of predict digestibility, metabolizable and net energy of compound feedstuffs for ruminants. Anirn, Feed Sci. Technol. 14: 203-214. https://doi.org/10.1016/0377-8401(86)90093-3
  4. Fick, G. W. and Onstad, D. W. 1988. Statistical models for predicting alfalfa herbage quality from morphological or weather date. J. Prod. Agric. 1: 160-166. https://doi.org/10.2134/jpa1988.0160
  5. Goering, H. L. and Soest, P. J. Van.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9. USDA.
  6. Henderson, J. L. and Davies, R. O. 1955. The yield and composition of mixed cereal-legume crops at different stages of growth. Empire J. Exp. Agr. 23:131-144.
  7. Kawas, J. R., Shaver, R. D., Woodford, J. A., Jorgensen, N. A. and Rohweder, D. A. 1983. Forage quality for dairy cattle. Proc. Minn. Nutr. Conf., 4th. pp. 67-77.
  8. Large E. C. 1954. Growth stages in cereals, illustration of the Feekes' scale. Plant. Pathol, 3:128129.
  9. SAS. 1996. User's guide, version 6.12. Statistical Analysis System Inst. Inc. Cary NY. USA.
  10. Schweiger, W. 1968. Yield and displacement of development in fodder rye as affected by sowing date and rate nitrogen fertilization. field Crop Abs. 20(2):11l-112.
  11. 김동암, 권찬호, 한건준. 1992. 청예용 호밀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2(3):173-177.
  12. 김동암, 성경일, 권찬호. 1986. 파종기와 파종량이 사초용 호밀의 생육특성. 월동성,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6(3):164-168.
  13. 김동암, 이무영. 조무환, 권찬호. 1988. 청예용호밀의 수확시기와 후작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파종기가 년간 사포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30(11):685-694.
  14. 김창호, 김성민, 체제천, 이효원. 1994. 파종기와 예취시기가 담후작 호밀의 생육 및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39(5):431-436
  15.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 2001. 맥류 과학영농 참고자료.
  16. 농협중앙회 젖소개량부. 2003. 2002년 유우군 검정사업 보고서. http://dcic.co.kr
  17. 농협중앙회 축산지원부. 2001. 2001년도 제 2차 목초 및 사료작물품종 수입적응성 심의위원회자료.
  18. 이석순, 박찬호, 장영동. 1985. Triticale과 청예호밀의 생산성. 한작지. 30(4):390-307.
  19. Savell, J. and Cross, H. R 1988. The role of fat in the palatability of beef, pork, and lamb. In Designing foods: Animal Product Options in the Market Place(p. 345).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 Sim, J. S. 1997. Designer eggs and their nutritional and functional significance. World Review of Nutrition and Dietetics. 83:89.
  21. Whitaker, J. R 1978. Biochemical changes occuring during the fermentation of high protein foods. Food Technol. 32:175.
  22. Wu. F. Y. and Smith S. B. 1987. Ionic strength and myofibrillar protein solubilization. J. Anim, Sci., 65:597
  23. 高坂和久. 1975. 肉製品の鮮度保持と 測定. 食品 工業.18:105.
  24. 김기태, 황용일, 임성일, 이동선. 2000. 포장된 전통 된장 및 고추장의 저장 중 $CO_2$ 발생과 특성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9:807.
  25. 김일석, 민중석, 이상옥, 신대근, 이정일, 변준석, 이무하. 1998. 국내산 진공포장 냉장 돈육 뒷다리 사유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한국축산심품학회지. 18:132.
  26. 신동화, 김동한, 최웅, 임대관, 임미선. 1996. 전통 고추장의 맛 성분. 한국식품과학회지. 28:152.
  27. 이종수, 권수진, 정성원, 최영준, 유진영, 정동효. 1996. 한국 재래식 된장과 고추장의 숙성 중 미생물, 효서활성 및 주요 성분의 변화. 한국산업미생물학회지. 24:247.
  28. 이종호, 김미혜, 임상선. 1991. 재래식 메주 및 된장 중의 항산화성 물질에 관한 연구. 제1보. 메주 발효 및 된장 중의 지질산화와 갈변.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0:148.
  29. 이희봉. 1974. 한국산 향신료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논문집. 제 8집:173.
  30. 한국영양학회. 1995. 한국인 영양 권장량. 6차 개정판. 서울.
  31. 한국육류유통수출입협회. 2003. 2003년 돈육수급 및 가격전망. No. 97.
  32. 허영미. 1996. 배추김치의 항돌연변이 및 항암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