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재교육원 수료 학생에 대한 과학고등학교 정원 외 선발의 타당성 분석

  • 발행 : 2004.12.01

초록

과학고등학교 선발 과정 중 영재교육원 수료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원 외 특별 전형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그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수학 및 과학 분야에서 학생들의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성취도 분석은 학생들의 1학기 종합 성적 및 담당 과목 교사와 학급 담임의 학생 개인에 대한 평가 결과를 수합하여 수행하였는데, 분석 결과 영재교육원 수료자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수학 ${\cdot}$ 과학 분야의 성취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정도는 아니나 다른 전형과정으로 선발된 학생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영재교육원 수료자로 학교장 추천제나 경시대회 수상자, 일반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의 성취도는 전체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과학에 대한 인식, 흥미 과학적 태도를 판단하는 과학 분야의 정의적 영역 검사를 수행하였는데, 영재교육원 수료자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 다른 전형과정으로 선발된 학생과 다른 점은 찾기 어려웠다. 또한 영재교육원 수료자가 선호하는 학습 형태나 학습 환경이 다른 학생과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조사하였는데, 영재교육원 수료자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은 명료화 요인에 대한 요구가 낮고 허용적인 분위기를 선호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판단할 때, 영재교육원 수료자 전형의 결과는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지만 선발 과정의 다양화를 통해 기회를 갖지 못했던 영재아를 선발할 수 있으므로 그대로 존속시키되, 선발 방법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즉, 영재교육원에서의 활동에 대한 다면적 근거자료, 수렴적 사고 및 발산적 사고를 묻는 다양한 형태의 문항, 탐구 기능을 포함한 과제 수행 능력의 평가 등 다단계 선발 과정을 통한 입체적 판단 과정이 필수적이다.

We analyzed the validity of Science Highschool's selection process for the students from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irst of all, we invested the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students are not so good at mathematics and science through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students from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However the difference i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On the contrary, The achievement of the students from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is above average who were selected through the other course, e. g. the students who acquired the recommendation of principal, winner of prize in Olympiad of Mathematics or Science. We didn't find any meaningful result in the investigation of Affective Domain in Science. And then we found that the students prefer the generous environment through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students from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s a whole,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students from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was not so satisfying. It should be reformed; we should examine the students' portfolio on the activities i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the entrance examination should include both divergent and convergent problems to find out the students' creativity. And the 3 dimensional process is also essential through the multiple step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감, 김명환, 이상천 (2002). 과학영재교육체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2권 1호. pp 61-76
  2. 김언주 (2001). 영재의 판별과 선발. 영재교육연구 11권 1호. pp 1-17
  3.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해결, 서울: 교육과학사
  4. 동효관, 전영석 (2003). 한성과학고등학교 학생 선발과정의 현황 분석. 영재교육연구 13권 4호. pp 65-94
  5. 문정호 (2002). 과학영재교육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영재학회
  6. 박성익, 조석희, 김흥원, 이지현, 윤여홍, 전석언, 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7. 박인호(2002). 과학영재학교 교육. 학사 운영에 관한 공청회 자료집. 과학영재학교 설립 정책 연구팀
  8. 오영주 (1997). 수행평가를 활용한 영재 판별. 영재교육연구 7권 1호. pp 77-115
  9. 전경원 (2000). 한국의 새 천년을 위한 영재교육학, 서울: 학문사
  10. 한성과학고(2001). 웹을 활용한 과학영재 심화학습 자료개발 연구 : 연구학교 중간보고서
  11. Coleman, L. J. & Cross, T. L. (2001). Being Gifted in School: An Introduction to Development, Guidance, and Teaching. Waco, Tex: Prufrock Press
  12. Davis, J. E., & Rimm, S. (1985).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Nj: Prentice-Hall
  13. Renzulli, J. S. (1986).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A developmental model for creativity productivity. In R. J. Sternberg, & J. E. Davidson(Eds.),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