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gional Decline and Sociodemographic Change in Kangwon Southern-Belt Mine Area

강원남부 탄광지역의 쇠퇴와 인구사회학적 변화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이 글은 강원남부 탄광지역의 쇠퇴와 인구사회학적 변동 양상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탄광지역의 특성을 살펴보고 탄광지역이 쇠퇴하게 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지역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산업구조와 인구구조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연구 결과 태백지역이 쇠퇴하게 된 직접적인 요인은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의 시행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태백지역은 탄광산업이 지역성장이 유일한 원동력이었다는 사실 즉, 탄광산업의 쇠퇴는 바로 이 지역의 급격한 경기침체와 인구유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급격한 경기침체는 산업구조의 변화에서 잘 드러나고 있으며 인구유출 양상은 지역의 인구변화 추이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최근 폐광지역개발지원특별법에 의해 수립된 종합개발계획도 상당 부분 무산되거나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는 점과 지역개발을 강원랜드 카지노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문제점 등이 드러나면서 지역경기 침체와 인구감소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 탄광지역의 주민소득 증대는 물론 새로운 고용창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만제(1996), '탄광도시의 성장과 쇠퇴: 태백시의 사례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8(2): 1-18
  2. 김시겸(2003), '강원랜드카지노가 폐광지역개발에 미치는 영향 및 발전방안', 강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석사논문
  3. 김용환(1996), '석탄산업의 생태와 역사: 태백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9(1): 193-244
  4. 서봉만(1993),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에 따른 탄광촌 주민의 적응양식: 문경점촌 지역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5. 이강익(1998), '지역위기에 대응하는 지역운동에 관한 연구: 강원 남부권 광산지역 운동 사례의 분석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6. 이영길 외(1996), <탄광지역살리기 대책연구), 춘천: 강원개발연구원
  7. 정성호(2001), '농촌인구의 변화와 농촌문제', 강원대학교 농촌개발연구소, <농촌개발연구> 6: 1-14
  8. 한만원 외(2001), <철암 그 미래를 위한 제안> , 철암지역 건축도시작업팀 제1차 작업발표회 보고서
  9. 홍원표(1997), '지역쇠퇴에 대응한 주민운동에 관한 연구: 태백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석사학위논문
  10. Beauregard, R. (1993), Voices of Decline, Cambridge, M.A.: Blackwell Publishers
  11. Clavel, P. and Kleniewski. (1990), 'Space for progressive local policy: Examples from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pp.1 99-234 in J.R. Logan and T. Swanson (eds.), Beyond the City Limits: Urban Policy and Economic Restructuring in Comparative Perspective,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12. Fhedrichs, J. (1993), 'A Theory of Urban Decline: Economy, Demography and Political Elites', Urban Studies 30: 907-917 https://doi.org/10.1080/00420989320080851
  13. Steiner, M. (1985), 'Old Industrial Areas: A Theoretical Approach', Urban Studies 22: 387-398 https://doi.org/10.1080/0042098852008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