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행시간 추정 및 예측을 위한 루프검지기 자료의 최적 집계간격 결정

Investigating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 of Loop Detector Data for Travel Time Estimation and Predicition

  • 유소영 (교통개발연구원) ;
  • 노정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
  • 박동주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방제연구센터)
  • 발행 : 2004.01.01

초록

1990년대 후반부터 구간 검지기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에 필요한 최소 표본수와 링크 및 경로 통행시간 추정과 예측을 위한 적정 집계간격에 대한 연구가 폭넓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루프(지점)검지기를 이용한 교통정보수집체계의 경우, 합리적인 검증 없이 선정된 1분~5분의 집계간격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점검지기인 루프검지기를 이용하여 통행시간자료를 수지하는 경우, 링크 및 경로 통행시간 추정과 예측을 위한 적정 집계간격 결정 모형을 개발하고 현장의 자료에 적용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링크 및 경로 통행시간 추정을 위한 적정 집계간격 결정 모형으로 CVMSE(Cross Validated Mean Square Error)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링크 및 경로 통행시간 예측을 위한 적정 집계간격 결정 모형으로는 FMSE(Forecasting Mean Square Error)를 적용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은 경부고속도로의 루프이터에 적용되었다. 적용결과 링크 및 경로 통행시간 추정을 위한 적정 집계간격은 3분~5분으로, 링크 및 경로 통행시간 예측을 위한 적정 집계간격은 10~20분으로 분석되었다.

Since the late of 1990, there have been number of studies on the required number of probe vehicles and/or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s for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However, in general one to five minutes are used as aggregation intervals for the travel time estimation intervals for the travel time estimation and/or forecasting of loop detector system without a reasonable valid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op models for identifying optimal aggregation interval sizes of loop detector data for travel time estimation and prediction. This study developed Cross Valiated Mean Square Error (CVMSE) model for the link and route travel time forecasting, The developed models were applied to the loop detector data of Kyeongbu expressway. It was found that the optimal aggregation sizes for the travel time estimation and forecasting are three to five minutes and ten to twenty minutes, resp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영. 강현철. 최병진(2001), ‘예제로 배우는 SAS 프로그래밍 입문’, 자유아카데미
  2. 김영찬. 김태용(2001), ‘검지자료합성을 통한 도시간선도로 실시간 통행시간 추정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19호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71-182
  3. 오세창. 김명하(2003), ‘차량검지기 교통량 데이터를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시간 추정 및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1호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83-95
  4. 이군희(2002), ‘사회과학 연구방법론’, 법문사
  5. 이정희(2001),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구간통행시간산출 방법론 연구 ; 적정표본수 결정방법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6. 정연식. 최기주(1999), ‘GPS probe 및 루프검지기 자료의 융합을 통한 통행시간추정 알고리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7호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97-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