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생산성 : 비모수적 Malmquist 접근법에 의한 분석

Analyzing the Productivity of Korean Rail Transit Authorities: A Nonparametric Malmquist Approach

  • 김민정 (교통개발연구원 항공교통연구실) ;
  • 김성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 발행 : 2004.01.01

초록

본 연구는 비모수적 방법인 자료포락분석기법을 이용해 도시철도 운영기관인 서울시지하철공사와 철도청의 수도권 전철부문 및 부산교통공단의 연도별 Malmquist 총요소생산성 지수를 구하고, 이를 생산성의 세 가지 증가요인인 생산적 효율성과 기술진보 및 규모의 경제 효과별로 분해하였다. 이 때 도시철도 운영기관은 노동, 전력, 전동차 및 유지보수와 궤도(또는 자본) 요소를 투입하여 전동차-km를 생산하는 기업형태로 상정되었으며, 분석에는 세 운영기관의 연도별 자료로 구축된 불균형통합자료가 사용되었다. 추정 결과 세 도시철도 운영기관들의 연평균 임금상승률은 생산성 증가율을 상회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산성 증가에 대한 요인별 기여도는 기술 진보, 규모의 경제 효과, 그리고 생산적 효율성 순이었으며, 각 요인의 기여도는 모두 20% 이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생산성 둔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임금인상률을 생산성 증가율 수준으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새로운 기술의 도입보다는 기존 기술의 활용도를 높여 생산적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생산성 증가율 추정시 편의를 줄이기 위해서는 세 가지 요인들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this paper annually estimates Malmquist total factor productivity indices and decomposes them into productive efficiency change, technical change, and scale change components for three publicly-owned rail transit properties: the Seoul Subway Corporation(SSC), the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Railways Sector of Korea National Railroad (SMESRS) and the Busan Urban Transit Authority (BUTA). The paper then conceptualizes that the property produces a single output(car-kilometers) using four inputs(labor, electricity, car and maintenance, and track) and uses unbalanced panel data consisted of annual observations on SSC, SMESRS and BUTA. The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of productivity of the three properties is 6.6 percent, which is 0.5 percent less than the average annual increasing rate of their labor price. They also show that the greatest part of the growth in productivity is explained by technical change and to a lesser degree by scale change and changes in productive efficiency though each of the three components contributes more than 20 percent to the growth in produ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ree properties should base the increasing rate of their wages on the growth rate of their productivity and utilize existing technologies more efficiently prior to introducing new ones to raise their productivity, and that all the three components should be considered to evaluate their productivity more correct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민정(2004), ‘한국 도시철도 운영기관들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자료포락분석기법과 확률적 비용변경접근법을이용하여’, 도시계획학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김민정. 김성수(2003), ‘자료포락분석기법을 이용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효율성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4호, 대한교통학회, pp.113-132
  3. 한광호. 김상호(1999),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과 기술적 효율성', 경제학연구, 47집 4호, pp.5-28
  4. Bauer, P. W.(1999), 'Recent Development in the Econometric Estimation of Frontiers', Journal of Econometrics, Vol.46, pp.39-56 https://doi.org/10.1016/0304-4076(90)90046-V
  5. Berechman, J.(1993), 'Public Transit Economics and Deregulation Policy', Amsterdam;North-Holland
  6. Cantos, P. et al.(1999), 'Productivity, Efficiency and Technical Change in the European Railways; a Non-parametric Approach', Transportation, Vol.26, pp.337-357 https://doi.org/10.1023/A:1005127513206
  7. Coelli, T. et al.(1998), 'An Introduction to Efficiency and Productivity Analysis',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8. Hensher, D. A. et al.(1995),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Productivity of Australia's Public Rail Systems 1971/72-1991/92', Journal of Productivity Analysis, Vol.6, pp.201-223 https://doi.org/10.1007/BF01076976
  9. Kumbhakar, S. C. and A. Bhattacharyya(1996), 'Productivity Growth in Passenger-Bus Transportation; a Heteroskedstic Error Component Model with Unbalanced Panel Data', Empirical Economics, Vol.21, pp.557-573 https://doi.org/10.1007/BF01180701
  10. Mizutani, F.(1996), 'Japanese Urban Railways', Aldershot; Ashgate Publishing
  11. Oum, T. H. and C. Yu(1994), 'Economic Efficiency of Railway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a Comparative Study of the OECD Countries' Railways', Journal of Transport Economics and Policy, Vol.28, pp.121-138
  12. Pattison, T.(2002), 'Jane's Urban Transport Systems 2000-2001', Jane's Information Group
  13. Viton, P. A.(1998), 'Changes in Multi-mode Bus Transit Efficiency, 1988-1992', Trans-portation, Vol.25, pp.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