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교량의 풍하중을 고려한 제한 속도 도출 방안

A Study on Variable Speed Limit Considering Wind Resistance on Off-Shore Bridge

  • 이선하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강희찬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발행 : 2004.01.01

초록

우리나라 해안지역은 강풍의 빈도가 높고 세기도 크지만 아직까지 바람을 고려한 적정속도를 안내하는 시스템은 전무한 상태이다. 강풍이 부는 곳에서의 무리한 주행은 핸들 조작의 어려움으로 인한 사고 위험과 풍속을 고려하지 않은 과속으로 인한 전복사고 등의 위험이 크다. 이러한 측면에서 바람 잦은 곳 중 주요지점에 기상정보센서(WIS:Weather Information Sensor)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실시간으로 측정된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의 구동력과 주행저항의 크기를 극대화하는 적정속도를 VMS를 통하여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목포시에 건설예정인 목포대교를 대상으로 풍속별 적정 속도를 산출한 결과, 연중 평균 풍향인 남풍일 경우 교량의 입지(정남-북)에 따라 남측으로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풍속이 8m/h이상일 경우에는 평상시와 달리 돌풍을 대비한 여유구동력이 큰 60km/h의 속도를 안내해 주는 것이 바람직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3년도에 발생한 태풍 매미 시 목포시의 풍속인 18m/s 일 경우 시속 40km/s에서의 주행저항은 1131N으로써, 이미 변속 4단에서의 구동력(약 1054N)으로는 극복할 수 없으므로 3단 이하에서 변속을 하여야 하며, 이때의 적정속도는 주행저항과 구동력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40km/h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long the seashore regions in Korea, though strong winds with very large strength are frequently witnessed, no system which can provide appropriate speed information for driving vehicle has been introduced. The driving against strong winds could be very dangerous because of the high possibility of accidents such as rollover and collision. These accidents usually resulted from driver's forced driving try even in difficult situation for steering vehicle, and sometimes overspeed without consideration of wind impact to the vehicles. To reduce accident caused by strong winds, it is important to inform drivers of appropriate driving speeds by perceiving strong winds. By setting up WIS at the main points where strong winds frequently appear and using the variable message sign(VMS) connected to the on-line whether information system, it tis possible to provide desired speed information, which can maintain vehicles' tractive force and maximum running resistance. The case study is conducted on the case of Mokpo-Big-Bridge, which is under construction at Mokpo city. The result show that in case the annual average direction of wind is South and the wind speed is over 8m/hr, the desired speed, which is required in order for vehicles running to South direction to maintain the marginal driving power, is 60km/hr. In addition, for the case of a typhoon such as Memi generated in 2003 year, if wind speed had been 18m/sec in Mokpo city at that time, the running resistance at the speed of 40km/hr is calculated as 1131N. This resistance can not be overcome at the 4th gear(1054N) level, therefore, the gear of vehicles should be reduced down to the 3rd level. In this case, the appropriate speed is 40km/h, and at this point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running resistance and tractive force is generated.

키워드

참고문헌

  1. 중원사지동차 연구회(1994) '자동차공학' pp.15_1-15_21
  2. 박보용 . 허승진(2001) '차량 통역학' pp.117-155
  3. 대림산업주식회사 . 유신코퍼레이션(2002) '한국의 교량'
  4. Beer, Ferdinand P(1997) '(Vector)동역학'
  5. 강생종(2001)'자동차공학개론'
  6. 강정규 . 정철훈(1999) '도시고속도로 교통류 관리를 위한 가변 전광판 정보 제공 방안 평가' 대한교통학회지, Vol.17 No.1, 대한교통학회, pp.91-102
  7. 최정순 . 손봉수 . 최재성(1999) ‘기상조건에 따른 도시고속도로 교통류변화 분석.’ 대한교통학회지, Vol.17 No.1, 대한교통학회, pp.29-39
  8. 박은미 (2002) 'VMS 자동제어 알고리즘 설계.' 대한교통학회지, Vol.20 No.7, 대한교통학회, pp.177-183
  9. 신치현 (1995) ‘고속도로 연결로 접속부에서의 속도 추정 모형‘ 대한교통학회지 Vol.13 No.3, 대한교통학회. pp.99-120
  10. 김종표 . 장명순(1998) ‘합류특성에 의한 오르막차로 설계속도기준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Vol.16 No.2, 대한교통학회, pp.67-76
  11. 고종대 . 장명순(2002) ‘국도 4차로 곡선부에서 주행속도의 특성 및 모형’ 대한교통학회지, Vol.20 No.7, 대한교통학회, pp.95-105
  12. Ahmed A. Sabana. John Wiley & Sons, Inc. (2001) ‘Computational Dynamics 2nd Edition.’
  13. Ferdinand P. Beer and E. Russell Johnston Jr. McGraw-Hill Book Co. (1998) ‘Vector Mechanics for Engineers Dynamics 3rd edition’
  14. Riley F. William(1995) ‘Engineering :Mechanics, Dynamics’
  15. Mitschke,M.(1982) ‘ynarnik der Kratfrahrzeuge’
  16. Haug. K. (1952) Die Drehschwingungen in Kolbenmashinen
  17. Tes, F.S., Mores. I.E., Hinkle, R.T(1963). 'Mechanical Vibrations. Allyn and Bacon
  18. A. D. Deutchman,(1975) 'Machine Design'. Macmil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