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수집자료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분포 특성 분석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alysis for Link Travel Time Using GPS Data

  • 이영우 (울산광역시 교통기획과) ;
  • 임채문 (대구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발행 : 2004.01.01

초록

지금까지의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연구는 개별 차량의 평균을 통한 평균링크통행시간 산정 및 추정의 제한적인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링크통행시간은 교통조건, 신호운영조건, 도로조건 등 다양한 영향인자로 인해 통행시간 분포가 구분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링크통행시간 특성을 좀 더 미시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자료 수집의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GPS를 이용한 RTK 측량을 이용한 실시간 자료수집을 통하여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신호운영에 의한 영향으로 인한 링크통행시간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현장조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분석을 통해 통행시간 분포특성 및 원인을 분석하고 프로그램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다 다양한 조건을 부여하여 링크통행시간분포비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에 대한 검토하고 통행시간 분포비율을 추정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GPS 실험차량을 이용한 주행실험결과를 분석한 결과 순행시간으로만 이루어지는 링크통행시간과 적색시간 동안 대기하였다가 링크구간을 통과하여 순행시간에 신호 대기시간을 더한 링크통행시간으로 통행시간이 구분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링크통행시간에 대한 분석은 통행시간을 하나의 평균통행시간으로 인식하는 것보다 두 개의 구분된 통행시간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링크통행시간 분포특성에 대한 연구결과 또한, 통행시간이 양분되어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링크통행시간의 경우 평균통행시간에 의한 결과보다 신호지체가 발생하지 않는 통행시간과 신호지체가 발생하는 통행시간으로 구분하는 것이 교통상황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나타났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숭영(2002). '버스도착시간 정보에 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175-181
  2. 김도경(1998),'루프검지기를 이용한 도시간선도로의 실시간 통행속도 추정방법론'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대현(2003),'퍼지기반 신경망모형을 이용한 대기행렬 검지',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63-70
  4. 김명하(2003), '차량검지기 교통량 데이터를 이용한 고속도로 통행시간 추정 및 예측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5호, 대한교통학회, pp.83-95
  5. 김영찬, 김태용(2001), '검지기자료 합성을 통한 도시간선도로 실시간 통행시간 추정모형' 대한교통학회지, 제19권 제6호, 대한교통학회, pp.171-182
  6. 박용진(1998), '교통류 모형을 이용한 도시 연동가로의 통행시간 모형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2호, 대한교통학회, pp.145-155
  7. 오기도(1999), '단속류 교통정보 수집용 검지기의 최적 위치 결정 및 통행시간 추정',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이숭준 (2001). 'GIS/GPS를 이용한 도시교통 정보체계의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이재훈 (1998). 'DGPS와 퍼지제어를 이용한 스피드스프레이어의 자율주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이정희(2001).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구간통행시간 산출 방법론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이철기 . 이승환(1992), '신호등 교차로에서의 지체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0권 제1호, 대한교통학회, pp,41-54
  12. 최기주 . 신치현(1998). 'GPS와 GIS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예측기법'.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97-207
  13. 하동익(1997), '신호교차로 지체체계 분석방법론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5권 제호, 대한교통학회, pp.83-103
  14. Bcnckohal, R. F(198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 Following Model for Simulation of Traffic Flow and Traffic Wave Studies'. Ohio State University
  15. Nagui M. Rouphail and Virginia Sisiopiku(1993). 'Travel Time and Loop Detector Output Analysis on Dundee Road Closed-Loop Signal System'.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ADVANCE Working Paper Series No.24
  16. W. Lassalin(1990). 'TRAF-NETSIM Source Code'. Version 1.0.5
  17. William. Mashane and Roger P. Roses(1990). 'Traffic Engineering', New York. pp.51-69
  18. Z. Wall, D.J. Dailey(1999). 'An Algorithm for Predicting the Arrival Time of Mass Transit Vehicles Using Automatic Vehicle Location Data'. In Presentation and Review 78th Annual Meeting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