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f Minimum Required Size and the Minimum Number of Targets for Pen Input on the Small Display

소형 정보기기의 화면 디자인에서 최적의 펜입력을 위한 구성요소의 크기와 개수에 대한 경험적 연구

  • 박정순 (천안대학교 디자인영상학부)
  • Published : 2004.01.01

Abstract

A great variety of handheld device are coming onto the market. Some have advanced features compacted into very small sized hardware. In order to maximize the capability of these devices, we ne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input methods and utilize them in a sufficient way. Our study aim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each device, so that we can design user interfaces more effectivel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compare target pointing performance with a pen and with a hardware key on small displays. In experiment 1, we examined participants' performance of target pointing with both input methods at different target sizes. It was found that pen operation is more erroneous than key based operation when target size is smaller than 5mm, but at a target size of 5mm, the error rate decreased to the same level as for key input. In experiment 2,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targets. The results showed, with a target size of 5mm, the pen could point to targets quicker than with key input, when the distance to the target exeeds a path length of 3 steps.

근래 작은 크기의 하드웨어 안에 첨단기능을 탑재한 다양한 ㅎ대용 기기들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그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입력방법의 특성을 이해하고 충분한 방법안에서 그것들을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각 입력방법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서 휴대용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좀 더 효과적으로 디자인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휴대용 기기의 소형 표시창에서 팬과 커서키를 이용한 타겟 포인팅 수행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우리는 서로 다른 타겟 크기에서 두가지 입력방법에 의한 타겟 포인팅 수행도를 조사하였다. 타겟의 크기가 5mm보다 작을 경우 펜을 이용한 이력이 하드웨어키를 이용한 입력보다 더 에러가 많지만 타겟크기가 5mm일때 에러율이 키입력과 같은 수준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두 번째 실험에서 우리는 타겟의 개수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타겟의 크기가 5mm일때 타겟의 거리가 3단계 경로길이을 초과할 경우 펜 입력이 하드웨어키 입력보다 더 빨리 타겟 포인팅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Keywords